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총명한갈매기288
총명한갈매기28823.05.09

엘리뇨와 라니냐 발생원리가 멀까요

요즘 기사에 엘리뇨 이야기가 나오는데 오랫만에 들어보는 단어라 기억이 안나네요

엘리뇨와 라니냐는 왜 생기는거고 그게 우리나라에는 어떤영향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는 정상적인 태평양 해류가 남쪽 태평양에 축적된 따뜻한 해수를 북쪽 태평양으로 운반하지 못하여 남쪽 태평양의 해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이에 따라, 태평양 지역에서는 평소보다 강한 강수량과 폭염이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반대로, 라니냐는 태평양 해양에서 충분한 양의 따뜻한 수증기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태평양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감소하고, 열대 지방에서는 평소보다 낮은 기온이 유지됩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지구의 대기와 해양 간 상호작용 결과 발생하는 것이며, 주기적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때 우리나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엘니뇨가 발생할 경우, 한국의 동해안과 서해안 지역에서는 평소보다 많은 강수량이 발생하고, 남한 지역에서는 추위가 덜하게 됩니다. 반대로 라니냐가 발생할 경우, 한국 전역에서는 평균 기온이 낮아지고, 불황 등의 경제적 영향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는 적도 무역풍의 약화가 중요한 발생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동부 적도 태평양의 해면수온이 높은 상태는 무역풍을 더욱 악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같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읍니다.

    라니냐 발생원인은 성장기 동안에는 동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무역풍의 증가로 인해 보통 때보다 동태평양의 난수층 두께가 얇아지고 서태평양에서 두꺼워지게 됩니다.그러므로, 동태평양에서는 수온 및 해수면이 평년보다 낮아지게 되며 수온이 내려간 해수면에서는 용승현상이 더욱 더 활발해짐에 따라 5개월 이상 해수면 온다가 0.5℃이상 낮게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입니다.라니냐 현상은 이와 같이 적도 무역풍의 증가로 인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읍니다.

    엘니뇨 피해 상항으로는 중국과 일본의 남부, 멕시코 북부와 미국 남부,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큰 홍수가 일어났읍니다.

    라니냐 피해 상항으로는 동태평양의 차가운 바닷물이 더욱 차가워져 서쪽으로 흘러가고, 그로 인해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에는 심한 장마가,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는 가뭄이, 북아메리카에는 강추위가 찾아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태평양에서 일어나는 기후현상입니다. 엘니뇨는 태평양의 열대동부에 있는 수온이 평균보다 높아지면서 일어나며, 라니냐는 열대동부 수온이 평균보다 낮아지면서 일어납니다. 이러한 기후현상은 해양과 대기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일어나며, 전 세계의 기후에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엘니뇨와 라니냐가 일어날 때 기온과 강수량에 영향을 미칩니다. 보통 엘니뇨가 일어날 때는 겨울철에 한국의 기온이 높아지고, 봄철부터 여름철에는 강수량이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라니냐가 일어날 때는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 여부는 농작물 재배와 수자원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무역풍이 약해져 동태평양의 따뜻한 바닷물이 서쪽으로 잘 이동하지 못하고 동쪽에 머무르게 되어 동태평양의 수온은 평상시보다 높아지고, 서태평양의 수온은 낮아집니다.

    반대로 라니냐가 발생하면 무역풍이 강해져서 동태평양의 따뜻한 바닷물이 서쪽으로 더욱 강하게 이동하게 됩니다. 그래서 동태평양의 수온은 평상시보다 낮아지고, 서태평양의 수온은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