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왜 서편제는 애절한 느낌을 주는 판소리가 특징이 되었나요?
운봉, 구례, 순창 등의 전라도 동쪽 지방만 해도 동편제라고 해서 웅장하고 가맥마다 힘이 들어간 활달하고 우렁찬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같은 전라도 지방 중에서도 광주, 나주, 해남 등지에서 전해져오는 서편제만 유독 구성지고 애절한 느낌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편제는 동편제와달리 애절함이 더하다고 합니다.
이는 여성적이며 슬프고 애절한 느낌의 계면조를 많이 쓰기 때문입니다.
춘향전이 대표적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편제의 특징은 활달하고 우렁찬 동편제와는 대조적으로 가창의 성색(聲色)이 부드러우며 구성지고 애절한 느낌을 준다. 동편제가 채소를 씹는 느낌이라면 서편제는 진득진득한 고기를 씹는 느낌입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애절하고 슬픈 서편제가 호남 지방에서 일반 민중이 부르던 민요를 많이 흡수해서 인가 봅니다. “판소리의 구성진 가락이나 애절한 슬픔이 서편제에서 보다 많이 드러나고, 대중적이며 서민적인 요소들이 수용되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편제는 1960년대 전쟁 이후 나라가 힘들고 어려웠을때 시대상을 반영합니다. 그래서 애절하고 구슬픈 느낌의 시대상을 반영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편재는 바다가 인근에 있는곳에서
시작이 되어서 많은 사람들의 이별과 사별을 겪은
한이 더 많이 맺어 있기 때문에 가락도 그렇게 흘러 가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