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용 플라스틱 용기를 구하고 싶은데 열과 하중에 강해야 하는데 가능한 제품이 있을까요?
사용하고자 하는 플라스틱용기에 담을 것은 뜨거운 , 약 40도~50도의 액체인데 오래 보관하고 쓰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열에도 잘 견뎌야 할 것이고, 무게도 거의 20kg에 달하기 때문에 용기도 가벼우면 좋겠는데요.
옮기기에도 좋고 열에 견뎌주고 , 그리고 그 물을 제가 먹을꺼라 아무래도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 되었으면 합니다.
1. 온도에 견디는지, 얼마나 견디는지
2. 인체에 무해한 재질인지
3. 하중에도 휘거나 찢엊지지 않는지
4. 가격은 저렴한지
이런 부분을 고려하였을때 어떠한 재질의 플라스틱이 좋을까요? 약수터 통도 찾아보앗는데 뜨거운물에 잘 견디는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이중철 과학기술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뜨거운 액체를 담을 용기를 찾고 계시는군요.
열과 무게, 그리고 인체 안전성까지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라 고민이 많으셨을 것 같습니다.
저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명쾌하게 답변해 드릴게요! ✨=======
1.질문의 요지:
40~50°C의 뜨거운 액체를 담을 용도로, 열과 하중에 강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가성비가 좋은 플라스틱 용기를 추천받고 싶으신군요.
2.답변:
가장 중요한 점: 질문하신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와 '폴리프로필렌(PP)'입니다.
특히, 두 재질 중에서도 'HDPE'가 가격과 내구성 면에서 더 적합하다고 판단됩니다.
3.구체적인 설명 및 근거:
이유:
플라스틱은 종류에 따라 녹는점, 강도, 화학적 안정성 등 고유한 특성이 다릅니다.
뜨거운 액체를 담으려면 내열성이 높은 재질이 필수적이며, 20kg의 무게를 견디려면 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HDPE와 PP는 일반 플라스틱 중 이 두 가지 조건을 가장 잘 충족합니다.
4.(참고)실제 사례/대응방안 등:
➡️Tip. 생수통, 약수터 물통, 대용량 통, 세제 용기들을 물색하시면서 아래와 같은 재질 확인하기↙️
①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내열성: 최대 약 120°C까지 견딥니다.
질문자님께서 사용하실 40~50°C의 액체는 충분히 담을 수 있습니다.
내구성: 밀도가 높아 충격에 강하고 질기며, 20kg의 무게를 담아도 쉽게 휘거나 찢어지지 않습니다.
가벼워 운반이 용이한 것도 장점입니다.
인체 안전성: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A(BPA)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습니다.
식약처로부터 식품 용기로 사용 승인을 받은 재질입니다.
가격 및 용도: 가공이 쉽고 가격이 저렴해 생수통, 약수터 물통, 대용량 통, 세제 용기 등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주로 마트의 캠핑 용품 코너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② PP (Polypropylene):
내열성: 최대 약 130°C까지 견딥니다. 뜨거운 국물을 담는 플라스틱 용기, 전자레인지 용기 등으로 사용됩니다.
내구성: HDPE와 유사하게 강도가 높고 가벼워 하중에 잘 견딥니다.
인체 안전성: BPA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습니다.
가격 및 용도: HDPE보다 약간 비싼 편이지만, 내열성이 더 뛰어나 밀폐용기, 도시락 용기, 반찬통 등 뜨거운 식품을 담는 용기로 많이 활용됩니다. 주로 대형마트의 주방용품 코너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5.결론:
질문자님의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제품은 HDPE 재질의 약수터 물통이나 대용량 물통입니다.
20kg의 무게를 견디는 내구성과 40~50°C의 열에도 안전한 내열성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가격도 저렴해 가성비가 매우 뛰어납니다. PP 재질도 좋지만, 20kg을 담는 대용량 용기는 HDPE가 더 보편적입니다.
=======
궁금증이 조금이라도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이상, 이중철 과학기술전문가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