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항목증 세액공제와 소득공제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연말이 되니 여러 블로그 등에서 연말정산 준비법이라는 글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하는데요. 직장 4년차인데 아직도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를 몰라 준비를 옳게 못하고 있는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소득공제는 세율을 곱하기 전의 과세표준에 영향을 주는 공제이고, 세액공제는 과세표준에서 세율을 곱한 후의 산출세액에 영향을 주는 공제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소득공제가 세액공제보다 절대적인 금액이 큽니다.
소득공제금액에서 세율을 곱해야지만 세액공제와 같은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근로자가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항목별로 공제방법이 정해져 있는 것으로 어떤 것이 더 유리하거나 불리한 것은 아닙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양승훈 회계사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에 대해서 잘 인지 하지 못하시는분들이 계십니다.
아주 심플한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근로소득금액이 100원으로 가정하고, 세율은 10% 단일 세율, 세액공제는 2원, 소득공제는 10원으로 가정하겠습니다.
근로소득금액 100원에서 소득공제 10원을 차감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세액공제는 산출세액 9원[(100-10)*10%]에서 차감하는것입니다. 그러면 7원(9-2)이 되겠죠.
자, 그럼 소득공제효과는 10*10%니까 1원의 세액을 차감하는 효과, 세액공제는 2원을 차감하는 효과가 있겠죠.
제가 드는 예시는 단일 세율 10%를 가정했기 때문에 세액공제 2원이 유리하지만 , 질문자님이 위치한 세율에 따라서 세액공제와
소득공제효과의 차이는 달라질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세금은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합니다. 이때 소득공제는 과세표준을 줄여주는 것이며, 세액공제는 세율을 곱해 나온 세금에서 직접 차감하는 방식으로 계산 구조상 차이입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소득공제는 본인의 소득에서 빼주는 항목을 말하며 세액공제는 계산된 세금에서 직접 차감된 항목을 말합니다.
소득공제의 절세효과는 소득공제액 x 종합소득세율 이며, 세액공제는 해당 공제액 자체가 절세가 됩니다. 아래 국세청 사이트의 세액계산흐름도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mi=2226&cntntsId=7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