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23.05.12

우주산업에서 달의 뒷면이 알려지지 않았다는게 이상하지 않나요?

우주연구에서 화성이나 타행성까지 관찰하고 알려고 하는데 지구와 가장 가까운 달의 뒷면에 대한 사진이 없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잘못안 것일까요? 달탐사를 했지만 아무도 뒷면을 모른다는 말을 들은것 같습니다. 어떻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 뒷면을 탐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달의 뒷면으로 탐사선이 진입하는 경우 지구와 탐사선 사이에 달이 위치하여 지구와 탐사선간의 통신이 어려워집니다.

    또한 탐사선은 태양의 빛에너지를 사용하는데, 달에 의해 에너지를 얻을 수 없어 활동이 어렵게 됩니다.

    그래서 탐사선이 달의 뒷면으로 들어가는 순간부터는 제어불능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달의 뒷면을 아무도 모르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탐사선 다누리호도 달의 뒷면 사진을 보내왔으며, 중국과 미국의 탐사선도 달의 뒷면을 탐사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달의 뒷면은 오랫동안 인류가 관찰하지 못한 곳 중 하나입니다. 이는 달이 지구 주변에서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같아 항상 같은 면이 우리에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959년에 소비에트 연방의 우주 탐사선인 루나 3호가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하여 관찰을 시작하였고, 이후에도 다양한 국가들의 탐사선들이 달의 뒷면을 탐사하며 관측과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2019년 1월에 중국 우주 기관이 발사한 창'e-4 탐사선이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하여 탐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달의 뒷면에 대한 사진이나 관측 자료도 많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뒷면은 달의 표면 중 지구를 향하고 있지 않은 반구 영역이다. 달의 뒷면은 수많은 충돌구로 뒤덮여 있으며 평평한 바다 지형은 달의 앞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드물게 존재한다. 여기에는 태양계에서 손꼽히는 규모의 충돌구인 남극 에이트켄 분지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뒷면은 지구에서 직접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지구와 달은 항상 서로를 향하고 있어서 우리는 달의 한 면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달의 뒷면은 지구에서 직접 관측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내부와 지질 구조에 대한 정보가 부족합니다. 그러나 우주 탐사와 인공위성을 통해 달의 뒷면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정보가 쌓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