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워지는 날씨에는 왜 물에 녹조가 짙어지나요?
이제 날씨가 계속 더워질 것인데요. 더운 날씨에는 고여있는 물에 녹조가 많이 생긴하고 하더라구요. 혹시 녹조가 더운 날씨에 온도의 영향을 받아 어떤 생물이 더 많아져서 생기는 것인가요? 그리고 정확히 녹조라는 것이 초록색의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전문가 이상현입니다.
녹조는 녹조류라고 하는 미생물이 물속의 영양분을 먹고 많이 증식하면서 눈에띄게 많아지는 현상입니다.
이 녹조류들은 기온이 높아짐에따라 수온이 높아지면 활성도가 높아져 더 빠르고 많이 증식하게 되서 녹조가 점점 짙어집니다.
녹조류는 광합성을하기때문에 엽록소를 가지고 있고, 이에따라 몸 색깔자체가 초록색을 띠므로 양이 많아지면 전체적으로 초록빛을 띠게 됩니다.
녹조는 물에 서식하고 있는 남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남세균은 광합성을 위해 엽록소라는 색소를 가져 녹색으로 보이는데, 남세균들이 과증식하여 물이 녹색으로 변하게됩니다.
물에 영양분(주로 공장폐수와 가정하수가 유입되어 물어 질소와 인 등이 많아짐)이 많이 있고 따뜻한 수온, 일사량증가, 그리고 물이 잘 흐르지 않는 정체현상이 결합되었을 때 녹조가 발생합니다.
일정량의 남세균은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며 물고기나 수생생물의 먹이가 되어 꼭 필요한 존재이지만
과도하게 증가하게되면 남세균이 대사과정에서 배출하는 독성물질이 수중 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수중의 깊은곳으로 들어가는 빛을 차단해 수심이 깊은곳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며,
낮동안에는 남세균이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산하지만,
밤시간에는 광합성을 하지않고 호흡만 하기 때문에 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고갈시켜 수생생물들이 질식하여 많이 죽게됩니다.
물고기의 아가미에 붙어 호흡을 방해하여 죽게하고
또 남세균 자체도 죽어 부패하면서 독성물질이 발생합니다.
녹조는 더운 날씨와 높은 온도, 높은 영양분 농도 등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식물성 식물입니다. 주로 녹조는 녹색의 단세포 또는 다세포 식물로서, 대부분의 녹조는 초록색을 띄고 있습니다. 녹조는 물 속에서 광합성을 통해 자신의 영양분을 얻는데, 더운 날씨와 높은 온도는 녹조의 번식과 성장을 촉진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더운 날씨에 녹조가 많이 생기는 현상은 수온 상승과 관련이 깊습니다. 더욱이 고여 있는 물이라면 수온 상승은 더욱 빠르기 때문에 그만큼의 녹조가 더 많이 발생합니다. 녹조류는 따뜻한 물에서 더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합니다.
녹조의 정의는 특정 유형의 조류-녹조류(blue-green algae)-의 급격한 증가 입니다. 이 녹조류는 실제로는 박테리아의 일종인 남조류(cyanobacteria)입니다.녹조란 강이나 호수에 남조류가 과도하게 증식하면서 물의 색깔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남조류가 과도하게 증식하는 이유는 질소와 인을 포함한 여러 오염물질이 강이나 호수로 흘러들어 영양물질이 풍부한 부영양화가 발생하고, 강한 햇빛, 높아진 수온, 물순환의 정체로 남조류가 성장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온이 올라가 수온이 섭씨 25도 이상으로 유지되고 일조량이 많아지면 수중으로 영양분이 과다하게 공급되면서 녹조류와 플랑크톤이 활발하게 증식하게 됩니다. 따라서 녹조는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더운 날에 녹조가 짙어지는 이유는 온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에는 햇빛 수준이 더 강하여 조류(Algae)의 성장을 촉진하게 됩니다. 조류(Algae)는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강한 햇빛이 필요한데 낮이 길어지는 더운 날에 녹조가 성장하기에 더 적합합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도 중요하며, 따라서 더워지는 날씨가 더 적합합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물이 흐르지 않고 정체 상황이 되면 지류에서 들어온 부유물이 고이고 녹조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강한 태양 빛 때문에 수온이 상승하면서 녹조가 생기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집니다.
강으로 흘러드는 각종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 오염 물질이 녹조의 주된 원인이라고 하지만 이런 오폐수에서 제공되는 영양분과 환경이 맞물려 대량의 녹조가 발생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