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화끈한가재38 맹꽁이
화끈한가재38 맹꽁이

염화칼슘은 제설작업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화학식이 무엇이며 어떤 반응으로 눈이 녹게 되는지요?

최근 잦은 눈으로 도로가 눈으로 뒤덥였는데요. 이때 염화칼슘을 제설작업에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그런데 염화칼슘의 화학식이 무엇이며? 어떤 반응으로 눈이 녹게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화학식으로는 CaCl₂입니다. 제설 작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염화칼슘은 그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물과 반응할 때 상당한 양의 열을 발생시킵니다.
    염화칼슘은 물에 매우 잘 용해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용해될 때 다음과 같은 반응을 일으켜 열을 발생시킵니다 :

    CaCl₂(s) + H₂O(l) → CaCl₂(aq)

    이 과정에서 염화칼슘이 고체에서 수용액으로 변환되며, 용해열이라 불리는 열이 방출됩니다. 이 방출된 열은 주변의 눈 또는 얼음을 녹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염화칼슘은 낮은 온도에서도 빙점 아래의 물을 녹일 수 있어 제설 작업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염화칼슘은 빙점 강하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염화칼슘이 물에 용해될 때 물의 빙점을 낮추어 더 낮은 온도에서도 물이 얼지 않게 만드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염화칼슘은 눈과 얼음을 효율적으로 녹이는데 널리 사용되며, 매우 추운 환경에서도 제설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염화칼슘의 화학식은 CaCl2입니다. 이 화합물은 칼슘(Ca)과 염소(Cl)의 이온성 화합물로 이루어집니다.

    염화칼슘은 1g당 주변의 물 14g을 흡수하는 뛰어난 제습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물을 흡수해 녹는 과정에서 열을 내놓고 이 열이 또 주변의 눈을 녹입니다. 염화칼슘으로 녹은 눈의 어는점은 무려 영하 54.9℃까지 떨어져서 얼음이 녹은 도로가 쉽게 빙판이 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