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삼굴이라는 사자성어의 기원은 뭔가요?
직장에서 보안과 관련된 교육을 받다가 교토삼굴이라는 사자성어를 들었습니다.
정확한 뜻과 언제 이 사자성어가 쓰였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이었던
풍환(馮驩)은 자신이 모시는 주군을
위해 세 개의 은신처를 확보해
주었습니다. 그리하여 맹상군이
어려운 일을 당할 때마다 위기를
넘기고 피신할 수 있게 했습니다.
그래서 다가올 위기에 대비해 피할 수
있는 구멍 세 개는 항상 가지고
살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교토삼굴
이라는 고사성어가 만들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토삼굴은 ①교활한 토끼는 굴을 세개 파놓는다. ②몸을 숨겨 재난을 피할 곳이 많다.이라는 뜻입니다.
기원에 대하여는 다음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korean.cri.cn/2022/07/22/ARTIilKx7WBIcIIyx5DhZaqW220722.shtml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토삼굴 이라는 사자성어는 교활한 토끼는 굴 셋을 판다는 뜻으로, 만일을 위해 이중 삼중의 대비책을 마련하는 준비성을 말합니다.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활할 교/토끼 토/석 삼/굴 굴꾀 많은 토끼가 굴을 세 개나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뜻으로 재난이 발생하기 전미리 준비를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즉 회사에서 보안 교육 내용이 아마도 정보 보안이였다면 아마도 미리 미리 정보 보안을 해야만 해킹 등의 사고에 대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토삼굴은 교활한 토끼는 숨을 세 개의 굴을 파놓는다라는 뜻으로, 지혜롭게 준비하여 어려운 일을 면한다는 말입니다.
제나라 재상 맹상군의 사람 중 빙환이라는 자가
위기에 처한 맹상군에게 꾀를 내어주는 과정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토삼굴은 꾀많은 토끼는 세 개의 굴을 준비한다는 의미로 사기 맹상군열전 , 전국책에 배경이 되는 고사가실려있습니다.
제나라의 재상이었던 뱅상군은 3천여명에 달하는 많은 식객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그 중 괴짜처럼 보이는 풍환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당시 맹상군은 많은 식객을 부양하기 위한 돈을 벌기 위해 옆 마을의 주민 1만가구를 대상으로 돈놀이를 했는데 이들이 돈을 제때 갚지 않아 근심에 빠집니다. 이에 풍환이 나서며 그 문제는 자신이 해결할 것이니 받은 돈으로 무엇을 할까 물었으니, 맹산군은 풍환에게 집에 없는 것을 사 오라 하며 풍환을 보냅니다.
그런데 옆 마을에서 돌아온 풍환을 보니 이자만 받고 원금이 없어 어찌된 일이냐고 묻자 풍환은 차용증을 불태우고 집에 없는 의리와 인정을 사 왔다고 합니다.
맹상군은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마뜩잖게 여깁니다.
1년 뒤 맹상군이 제나라 민왕에게 미움을 사 재상 자리에서 물러나고 식객이 흩어지게 되어 풍환만이 곁에 남는데, 풍환은 일전에 돈을 빌려주었던 옆 마을에서 살것을 권합니다.
실의에 빠진 맹상군이 옆 마을에 당도하자 주민들이 그를 열렬히 환영하고 그제야 풍환의 뜻을 깨달은 맹상군에게 풍환은 꾀 많은 토끼는 세개의 굴을 뚫는다며 이제 겨우 한개의 굴을 뚫었을 뿐이라고 답합니다.
이후 풍환은 위의 혜왕에게 맹상군을 등용하면 제나라를 견제할수 있다고 꼬드겨 혜왕으로 하여금 세 차례나 맹상군을 찾아와 중용을 권유합니다. 그러나 풍환은 자신이 혜왕을 꼬드였음에도 맹상군에게 혜왕의 제안에 응하지 말라고 하고 후 혜왕이 몇번이나 맹상군을 찾아왔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민왕이 맹상군의 가치를 다시 깨닫고 맹상군을 다시 중요하게 되니 이것이 두번째 굴입니다.
풍환은 종묘가 맹상군의 영지에 있다면 민왕이 다시 변심한다 하더라도 맹상군을 어찌하리 못할것이라는 치밀한 계산 하에 민왕을 설득하여 맹상군이 살고 있는 옆마을에 제나라의 종묘를 만들게 합니다.
세개의 굴을 완성한 풍환은 이제 세개의 굴이 모두 완성되었으니 이제부터 주인께서는 배개를 높이 하고 편히 주무셔도 될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