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살아기인데 새벽마다 깨서우네요
2살여아인데 새벽마다 3번에서4번깨서우네요 이러니 애는피곤해하고 저도 깊은잠을못자서 피곤하고 새벽마다 물을먹든 우유를먹든 꼭 일어나네요 좋은방법이있을까요?
우유만먹고 이유식을안먹을려하네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꺠는 이유는 다양할수있습니다
성장통으로 깰수있고 야경증 혹은 진짜 무언가 공복감으로 일어낢수있습니다
그렇다고 자기전에 우유를 먹이는 것은 좋지 않기에 가능하면 물로 대처해주시도록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다가 자주 깨서 우는 경우는 성장통 또는 이앓이를 해서 그럴 수 있으니, 우유 보다는 물을 먹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잠자기 전에 팔이나, 다리를 주물러 주는 것도 도움이 되며, 이앓이를 할 경우엔 치발기나, 찬 거즈로 잇몸을 닦아 주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는 깬 다음에 스스로 잠이 들지 못하고 누가 옆에 있거나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잠들기전에 다음 것들을 해주세요
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그리고 우유만 먹으려 하다보니 배가 일찍 꺼져서 그런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유식을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사나 잠자리가 바뀌는 등 환경의 변화로 예민해져서
잠이 자주 깨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환경에 적응이 되면 점차 좋아지므로 엄마부터
마음의 여유를 갖고 아이를 대하는 것이 좋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그 시기의 아이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아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외부의 자극에 예민학헤 반응하니, 잠이 든 후 1~2시간 사이에 울거나 뒤척이는 경우가 많아요.
보통, 아이를 가볍게 다독거려주거나 흔들어주는 방법으로 다시 잠에 들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그렇게 깨서 우는 것은 야경증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우선은 야경증이 뚜렷한 치료법이 없으니
새벽에 우유나 물을 먹는 습관을 없애시고
우유를 먹는 것을 줄여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두 살 정도의 시기라고 하신다면
새벽에 깨서 우는 증상은 야경증일 확률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야경증은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고
뚜렷한 원인이나 치료법이 없기때문에
아이가 수면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시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4개월이 넘으면 제법 말을 하기 시작하는데, 잠을 자면서 잠꼬대를 하는 아이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잠을 잘 때도 뇌의 일부분에는 깨어 있을 때의 흥분 상태가 남아 있어 자면서도 여러 감각을 느끼는데 이것이 바로 꿈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안 좋은 꿈을 꾼 듯 울기도 하고 기분이 좋은 꿈을 꾸는 것처럼 웃기도 합니다. 자연스러운 수면의 일부분이므로 억지로 깨우거나 말을 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심한 악몽이 아닌 이상 깨우는 건 아이의 자발적인 수면 유도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그대로 안고 토닥거리며 아이를 편안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무래도 불안감이 크거나 아니면
배가 고파서 깨는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평소에 이유식의 식단 등을 바꾸어 제공을 하시고
이유식을 잘 먹으면 칭찬과 더불어서 선물 등을 통하여
배부르게 해주신다면 보다 새벽에 덜 깰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
영유아의 수면에 영향을 줄수 있는 의학적인 상황은 야경증과 빈혈입니다.
아경증은 아기가 자라면서 좋아질 때가 많으며,
평소 낮 동안 지나치게 무리하지 않도록 해주시고
자극적인 영상 시청을 자제해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빈혈은 철분 결핍에 의한 경우가 종종 있는데,
혈액 검사로 확인된다면 철분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안정적인 수면을 위해 조용하고 어두운 수면 환경을 만들어 주시고,
기타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들을 찾아서 개선해 주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염려가 되신다면 평소에 진료를 받으시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의하시길 권장 드립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