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백색왜성이 펄사가 될수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중성자별이 펄사가 된다고 들었고 펄스신호를 보낸다고 들었는데 백색왜성이 백색왜성펄사가 될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 배경을 무슨 근거로 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펄사는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자기장 축이 회전축과 일치하지 않으면, 전자기파(주로 전파)를 방출하는 현상이며 이 전파는 지구에서 보면 주기적으로 신호가 깜박이는 것처럼 관측됩니다! 백색왜성은 중성자별보다는 밀도가 낮고 덜 극단적인 천체이며 일부 백색왜성은 매우 빠르게 회전하고 강한 자기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런 조건에서 백색왜성도 펄사와 유사한 행동을 보일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백색왜성 중 일부는 매우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고 이 자기장이 회전할 때, 중성자별 펄사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백색왜성들은 전자기파를 펄스 형태로 방출하며, 이는 지구에서 펄사와 유사한 신호로 관측될 수 있습니다! 백색왜성 펄사는 중성자별 펄사와 기본 메커니즘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중성자별 펄사는 고속 회전과 강한 자기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유의 자기장-전파 방출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하는데 비해 백색왜성 펄사는 빠른 회전과 자기장, 그리고 물질의 낙하와 같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합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