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1.26

백색왜성이 초신성이 되는 경우가 있나요?

별이 죽을때 백색왜성이 된다고 들었는데, 서서히 죽지 않고 초신성이 되는 경우도 있다더라구요. 어떻게 초신성이 될 수 있나요? 필요 조건이나 물질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죽을 때 백색왜성이 되거나 초신성이 되는데, 초신성이 되는 별은 주로 질량이 10배 이상인 별입니다. 이 별들은 죽을 때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폭발하는데, 이를 초신성이라고 합니다. 초신성은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이며,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초신성이 되는 별은 질량이 크고, 따라서 핵융합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납니다.

    핵융합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나면 별의 중심부에 철이 많이 생성됩니다. 철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별의 중심부는 철로 가득 차게 됩니다. 별의 중심부가 철로 가득 차면, 핵융합 반응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고, 별의 중심부가 무너지면서 초신성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색왜성은 지구 정도 크기의 별이 연료를 모두 소진하고 적색거성이 됐다가 외부의 가스층이 모두 날아간 뒤 남는 밀도가 매우 높은 '죽은 별’입니다.

    태양보다 10배 이상 큰 별들은 연료 소진 후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며 최후를 맞지만, 백색왜성도 초신성이 될 수는 있습니다.

    즉, 백색왜성이 주변 물질을 흡수해 질량이 일정 수준 이상 커지면 다시 핵융합이 시작되어 열핵 폭발을 일으키는 'Ia형 초신성’이 될 수 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신성은 별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8배 이상이거나, 별의 중심핵에 니켈이 풍부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색왜성이 초신성이


    된 사례는 많이 있습니다.


    백색왜성이 초신성이 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백색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빼앗아 가는 것입니다.


    백색왜성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44배 이상이 되면

    중심핵에서 탄소 핵융합이 시작되어 초신성 폭발이 일어납니다.


    백색왜성이 초신성이 된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054년에 중국, 일본, 아랍 등 여러 지역에서 관측된 초신성입니다.


    이 초신성은 매우 밝아서 낮에도 볼 수 있었으며, 그 폭발의 잔해는 현재 성운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 초신성은 백색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빼앗아 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7년에 남반구의 맥쿼리 섬에서 관측된 초신성입니다.


    이 초신성은 지구에서 16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으며, 그 밝기는 태양의 100억 배에 달했습니다.


    이 초신성은 백색왜성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빼앗아 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죽을 때 백색왜성이 된다는 것은 맞는 말씀이지만 모든 별이 그렇게 죽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별은 수명이 다하면 중력 붕괴를 일으켜 백색왜성이 됩니다. 하지만 가끔은 별이 죽을 때 중력 붕괴가 아닌 다른 현상이 일어나 초신성이 될 수도 있습니다.

    초신성이 될 수 있는 조건은 다양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별의 질량이 매우 큰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별이 죽을 때 중력 붕괴가 아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초신성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두 개의 별이 합쳐지는 이중성 별이나 블랙홀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초신성이 될 수도 있습니다.

    초신성이 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물질은 별의 질량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초신성은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별 내부의 수소와 헬륨 등의 원소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별의 질량이 클수록 초신성이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백색왜성이 초신성이 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백색왜성은 중력 붕괴를 일으켜 백색왜성 자체가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가끔은 백색왜성과 다른 별이 상호작용하면서 초신성이 될 수도 있습니다.

    초신성이 되는 과정은 아직도 많은 미스터리가 남아있는 분야이지만 이런 다양한 조건과 물질들이 초신성이 될 수 있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성왜성은 적색거성이 폭발하고 난 뒤 중력수축을 하여 약하게 빛나는 일명 죽은 별 입니다.

    백생왜성도 중력이 있기떄문에, 주변으로부터 물질을 끊임없이 받아들이다가 결국 또 폭발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이 la형 초신성입니다.

    모든 초신성들중에서 가장 강력한 형태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