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에서 구름을 만들어 볼 수 있을까요?
수증기의 상승과정으로 단열 팽창이 일어나고 이슬점이 도달 하여 공기가 냉각되면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하기 시작하죠. 그 후에 응결핵으로 응결 하고 구름이 형성 된다고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실험실에서도 구름을 만들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당연히 만들수 있습니다! 자연에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조건을 그대로 묘사하면 되는데 구름을 만드는데 필요한 수증기, 냉각, 압력변화 그리고 응결핵이 있어야 하며 구름이 단열팽창에 의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팽창하고 온도가 낮아져 이슬점에 도달하고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핵에 달라붙어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을 형성하며 물방울이 집단적으로 모여 구름으로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이를 위해 투명 페트병이나 유리병을 가지고 따뜼한 물, 응결핵, 공기펌프나 주사기, 손전등 등을 준비하여 병의 바닥에 따뜼한 물을 약간 넣고 흔들어 수증기를 만들고 성냥을 불태운후 병 안에 연기를 넣은 후 초크 가루를 소량으로 뿌려 응결핵 역할을 할 물질을 넣고 병 입구를 밀봉한 뒤 공기 펌프나 주사기로 병 내부의 압력을 높였다가 갑자기 줄이게 하며 병 내부의 압력이 갑자기 낮아지면 온도가 감소하고 고익 중의 수증기가 이슬점에 도달해 응결하며 공기중의 수증기만으로는 쉽게 응결되지 않으므로 미세 입자가 응결핵으로 작용하여 물방울을 만들게 되고 병안에서 형성된 구름이 실제 대기 중 구름과 같이 물리적 원리로 만들어지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