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23.12.31

눈 결정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알려줘요!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인데요.

눈을 만져보면 어떤 눈은 잘 뭉쳐서 눈싸움하기도 좋고 눈사람 만들기도 좋은데,

어떤 눈은 도저히 뭉쳐지지도 않는 눈이 있더라고요.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리는 것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로 인해 눈 결정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눈 결정은 물 분자들이 얼어서 형성되는데 이때 물 분자들이 얼어서 결정이 되는 방식에 따라 눈의 형태가 달라집니다.

    눈이 잘 뭉쳐지는 눈은 물 분자들이 얼어서 결정이 되는 과정에서 물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져서 더 작은 결정들이 모여서 큰 눈 결정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그렇지 않은 눈은 물 분자들이 얼어서 결정이 되는 과정에서 물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약해서 작은 결정들이 모여서 큰 눈 결정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눈 결정의 형태는 눈이 내리는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눈 결정의 형태가 다양한 이유는 물 분자들이 얼어서 결정이 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환경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눈 결정의 형태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눈의 아름다움을 더욱 더 깊이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을 뭉치는데 미치는 요소는 수분이 얼마나 함유되어 있느냐입니다.

    눈 뭉치기 좋은 눈의 온도는 0도씨 부근의 눈입니다.

    눈송이가 약간 녹기 시작해서 서로 붙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눈이 잘 안뭉쳐지는 경우에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 내린 건조한 눈이거나 너무 습해서 이미 녹아버린 눈은

    결합력이 약해서 뭉쳐지지 않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잘 뭉쳐지는지 여부는 눈의 결정 구조와 수분 함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눈의 결정 구조는 크게 육각형 구조와 기둥 구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육각형 구조의 눈은 기둥 구조의 눈에 비해 더 안정적이고, 뭉쳐지기 쉽습니다.

    눈의 수분 함량은 눈의 습기를 의미합니다.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눈은 더 끈적거리고, 뭉쳐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육각형 구조의 눈과 수분 함량이 높은 눈은 잘 뭉쳐지고, 눈사람 만들기나 눈싸움하기에 좋습니다. 반면, 기둥 구조의 눈과 수분 함량이 낮은 눈은 뭉쳐지지 않고, 바람에 쉽게 날려갑니다.

    눈의 결정 구조는 기온과 습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기온이 낮을수록 육각형 구조의 눈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습도가 높을수록 눈의 수분 함량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추운 날씨에 습도가 높을 때 눈이 잘 뭉쳐집니다. 반면, 따뜻한 날씨에 습도가 낮을 때는 눈이 잘 뭉쳐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눈이 잘 뭉쳐지는지 여부는 기온, 습도, 눈의 결정 구조와 같은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만들어질때 습도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습도가 높으면 물기가 많아서 눈이 잘 뭉치는 함박눈이 내리거 습도가 낮으면 물기가 적어서 잘 뭉치지 않는 싸리눈이 내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