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윤리적 상대주의는 도덕적 판단을 어떻게 이해하나요?
안녕하세요. 윤리적 상대주의에 따르면 도덕적 판단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문화나 개인에 따라 다르게 형성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관점에서 도덕적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이 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윤리적 상대주의는 각문화마다 도덕기준이 다르다는게 핵심이랍니다.
사실이게 참 어려운주제인데 제가 쉽게 설명을 해보자면
예를들어서 어떤 나라에서는 일부다처제가 허용되는 반면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죠
이런 차이는 그 사회의 역사적 배경이나 문화적 전통에서 비롯된거랍니다
그래서 윤리적 상대주의는 어떤 행동이 옳고 그른지는 그 문화권의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보는데요
서양에서 정상적인 행동이 동양에서는 무례할수도 있고 그 반대일수도 있는거죠..
근데 이게 좀 문제가 되는게 모든 가치관이 상대적이라고 하면 보편적 인권이나 정의같은건
어떻게 설명할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어요
그리고 극단적 상대주의는 심각한 인권침해도 문화의 차이라며 정당화할수 있다는 문제가 있구요
그래서 요즘은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인간의 기본권같은 보편적 가치는
지켜야한다는 입장이 설득력을 얻고있답니다
윤리적 상대주의가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너무 극단적으로 가면 안된다는게 제 생각이에요,,
윤리적 상대주의에 따르면 도덕적 옳고 그름은 문화적, 사회적, 개인적 맥락에 따라 결정되므로 절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도덕적 판단은 해당 문화나 개인의 가치관, 규범, 경험 등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