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우리나라에 세계최대의 망원경을 만들고 있다는데, 어떤 성능을 가진 망원경인가요?

우리나라에서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세계최대의 망원경을 만들고 있다는데요. 어느 정도의 크기이고, 어떤 기술이나 성능을 가지게 될 망원경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막위의오아시스
      사막위의오아시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거대마젤란 망원경 GMT입니다.

      허블보다 10배 선명하며,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거울 제작 돌입하여 2029년 첫 관측가능할거라 합니다.

      완성땐 지름 25미터 세계 최대 광학망원경일 것이라고 하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망원경은 39m의 거대한 주경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까지의 망원경 중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합니다. 매우 민감한 적외선 감지기와 고해상도 광학 장비를 장착 설계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이 될 전망으로 보이는 거대마젤란망원경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는 제임스웹 망원경보다 4배더 선명한 해상도와 200가 높은 감도를 가지고 있을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2030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세계 최대 망원경은 '거대한 시야 적외선 망원경'(Giant Segmented Mirror Telescope, GSMT)이라고 불리며, 망원경 직경은 30m에 달해 현재 세계 최대 망원경인 유럽 남방 천문대의 VLT(Very Large Telescope)보다 7배 이상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GSMT는 적외선 파장 영역에서 관측하며, 주요 기술로는 30m 직경의 거대한 주경을 792개의 작은 세그먼트로 나누어 제작하는 기술, 적응광학 기술을 이용하여 대기 왜곡을 보정하는 기술, 고감도 적외선 센서 기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을 통해 GSMT는 VLT보다 10배 이상 뛰어난 분해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우주 초기의 은하, 블랙홀 주변 환경, 행성 형성 과정 등을 관찰하여 우주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세계최대의 망원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망원경의 크기는 지름 30미터로 현재까지 만들어진 망원경 중 가장 큰 크기입니다. 이 망원경은 주로 광학적으로 관측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를 이용하여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간섭기술을 사용합니다. 이 기술을 통해 망원경의 성능은 매우 높아지며 지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물체도 관측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이 망원경은 지구의 자전속도를 보상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더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렇게 세계최대의 망원경은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망원경인


      Extremely Large Telescope (ELT)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ELT는 지름 39m의 거울을


      사용하는 반사 망원경으로, 현재 운영되는


      망원경 중 가장 큰 지름 10m의 Keck 망원경보다


      약 16배 더 높은


      빛 수집 능력을 가질 예정입니다.



      ELT의 주요 성능 및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울 크기: 지름 39m (세계 최대)





      빛 수집 능력: Keck 망원경보다 약 16배 높음





      분해능: Keck 망원경보다 약 10배 높음

      주요 관측 파장: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관측 분야: 우주 탄생 초기의 은하, 블랙홀, 행성 형성 등

      예상 완공 시기: 2027년


      ELT는 다음과 같은 과학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빅뱅 이후 처음 형성된 은하를 관찰하여 우주의 초기 역사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 주변의 환경과 블랙홀 성장 과정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항성 주변의 행성을 직접 관찰하고, 행성 형성 과정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암흑 물질 및 암흑 에너지 연구: 우주의 95%를 차지하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의 특성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ELT는 한국 천문학 연구의 새로운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됩니다.


      ELT의 완공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천문학계에 큰 도약이 될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