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아웃도 실손보험 보장이 되는건가요
2014년에 가입한 보험인데요 f코드는 보상이 안 되요 그런데 번아웃은 f가 아니지만 정신과 관련 질병인거 같은데 보장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번아웃 증후군은 정신과 관련 질병으로 보일 수 있지만 2016년 1월 이전에 가입한 실손보험에서는 보장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신과 치료는 특정 진료코드에 따라 보장 여부가 결정되며 번아웃은 현재 보장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보험 약관을 확인하고 보험사에 직접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번아웃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다른 정신과 질환과 마찬가지로 치료비가 보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보험 가입 시 주의 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16년 1월 이후 계약이 아니라면 정신과치료는 실손의료비 보장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청구 및 보장이 불가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제가 알기로 해당 진료코드에 없는 항목은 실손보험 보장 대상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신과 항목은 우울증,조현병,ADHD,틱장애 등의 정신질환 등인데 이는 2016년 이후 가입자에 한해서입니다. 2016년 이전 가입자는 보장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이런 점으로 봐서 번아웃 증후군은 아직 보장 대상에 넣고 있지 않다고 봅니다 다만 혹시 있을수도 있으니 보험회사에 직접 문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없다고 하는 것은 보험약관에는 진료코드에 있는 항목을 보장하기 때문인데 보험약관에 번아웃 진료코드를 명시하고 보장한다고 한다면 보장하겠지만 그런 게 아니라면 대상이 아닐 것입니다. 참고로 정신과 진료는 급여만 보상하고 비급여부분은 보상하지 않아서 약제비는 제외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보상은 급여적용된 것이 최대 3만원이라서 치료가 10만원이라도 3만원만 보상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병원의 과잉진료를 막고자 하고 있으며 진료코드가 없는 비급여진료까지 보상하면 선의의 다른 보험가입자까지 보험료인상 등의 피해를 입으므로 이런 부분을 개선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가급적 진료코드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