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의 색상은 어떤 요인으로 인해서 결정이 되나요?
우리가 하늘을 쳐다보면 여러 모양의 구름이 있는데
대체적으로 흰색입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선 짙은 회색이거나 종종 검은색에 가까운 색 구름도 있는데
이런 구름의 색상은 어떤 자연현상으로 인해서 결정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빛의 산란이 구름의 색을 조절하는 요인이라고 하는데 태양광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대기중의 분자와 입자에 의해 나타나게 되며 물방울의 양이나 얼음결정이 얼마나 있는지에 따라 구름의 색상이 달라지게 됩니다! 즉 구름의 두께와 밀도에 따라서 태양빛이 통과하게 되고 얼마나 더 많이 산란되고 흡수되는지에 따라 색이 달라지게 되는것이지요!
구름의 색은 구름을 구성하는 구름입자의 밀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구름입자는 수증기가 아니라 물방울입니다. 구름입자의 양이 적으면 태양빛을 반사시켜 전체적으로 흰색으로 봅입니다. 그러나 구름입자의 양이 많으면 구름입자 사이로 들어간 태양빛이 흡수되어 점점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또한 태양의 고도가 낮은 아침이나 저녁에는 태양빛 중 파장이 짧은 것은 산란되고 파장이 긴 것이 주로 통과되어 오므로 붉은 색으로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