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독특한청가뢰34
독특한청가뢰34

성능 개선율 계산할 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컴퓨터 과학을 공부하다가 성능 개선율이 나왔는데 도통 이게 뭔지 모르겠어요. 프로그램 응답 시간 단축으로 예를 들게요. 단축되기 전의 시간을 t1, 단축 후의 시간을 t2로 한 다음에 t1 - t2를 합니다. 여기까지는 같은데 이 다음이 문제예요.

t1-t2 다음에 어떤 분은 t1으로 나누고, 또 어떤 분은 t2로 나누세요. 대체 어느 게 맞을까요?

성능 개선율 공식을 인터넷에 검색해도 원하는 답이 나오지 않아요. 정확히 아시는 분 있나

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성능 개선율 공식은 (T1-T2) / T1 로 계산하며, 성능 향상 전의 시간 T1으로 나누게 됩니다.

    이 값은 성능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T2로 나누는 것은 보통 성능 향상 배율을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성능 개선율을 계산할 때 보통 사용하는 공식은 성능 개선을 한 후 얼마나 효율이 향상되었는지를 나타내고자 할 때 주로 t1을 기준으로 합니다. 성능 개선률은 원래의 응답 시간에서 개선 후 응답 시간을 뺀 다음, 그 차이를 원래의 시간으로 나눈 값을 사용합니다. 즉, 성능 개선률 = (t1 - t2) / t1 입니다. 이렇게 하면 원래 소요된 시간 대비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 퍼센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t2로 나누는 경우는 그 자체가 아니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어서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진행 중인 문제에 이 공식을 직접 적용해 보시면 도움 되실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성능 개성율을 계산할 때 기준이 무엇이냐에 딸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t1 - t2) / t1을 사용하며 이는 기존 시간(t1) 대비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반면 (t1 - t2) / t2는 개선 후 시간(t2)과 비교하는 값으로, 성능이 몇 배 향상되었는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성능 개선율 계산에 대해 질문해 주셨군요. 일반적으로 성능 개선율은 개선 전과 개선 후의 차이를 기준으로 개선 전의 값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따라서 \( \frac{t1-t2}{t1} \times 100\% \)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이 방법은 원래 값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성능이 향상되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반면 \( \frac{t1-t2}{t2} \times 100\% \)는 단축 후의 값에 대한 비율로, 이는 상대적인 증가율을 나타내면서 다릅니다. 질문자분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