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개선율 계산할 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컴퓨터 과학을 공부하다가 성능 개선율이 나왔는데 도통 이게 뭔지 모르겠어요. 프로그램 응답 시간 단축으로 예를 들게요. 단축되기 전의 시간을 t1, 단축 후의 시간을 t2로 한 다음에 t1 - t2를 합니다. 여기까지는 같은데 이 다음이 문제예요.
t1-t2 다음에 어떤 분은 t1으로 나누고, 또 어떤 분은 t2로 나누세요. 대체 어느 게 맞을까요?
성능 개선율 공식을 인터넷에 검색해도 원하는 답이 나오지 않아요. 정확히 아시는 분 있나
요?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성능 개선율 공식은 (T1-T2) / T1 로 계산하며, 성능 향상 전의 시간 T1으로 나누게 됩니다.
이 값은 성능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T2로 나누는 것은 보통 성능 향상 배율을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성능 개선율을 계산할 때 보통 사용하는 공식은 성능 개선을 한 후 얼마나 효율이 향상되었는지를 나타내고자 할 때 주로 t1을 기준으로 합니다. 성능 개선률은 원래의 응답 시간에서 개선 후 응답 시간을 뺀 다음, 그 차이를 원래의 시간으로 나눈 값을 사용합니다. 즉, 성능 개선률 = (t1 - t2) / t1 입니다. 이렇게 하면 원래 소요된 시간 대비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 퍼센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t2로 나누는 경우는 그 자체가 아니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어서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진행 중인 문제에 이 공식을 직접 적용해 보시면 도움 되실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성능 개성율을 계산할 때 기준이 무엇이냐에 딸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t1 - t2) / t1을 사용하며 이는 기존 시간(t1) 대비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반면 (t1 - t2) / t2는 개선 후 시간(t2)과 비교하는 값으로, 성능이 몇 배 향상되었는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성능 개선율 계산에 대해 질문해 주셨군요. 일반적으로 성능 개선율은 개선 전과 개선 후의 차이를 기준으로 개선 전의 값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따라서 \( \frac{t1-t2}{t1} \times 100\% \)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이 방법은 원래 값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성능이 향상되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반면 \( \frac{t1-t2}{t2} \times 100\% \)는 단축 후의 값에 대한 비율로, 이는 상대적인 증가율을 나타내면서 다릅니다. 질문자분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