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꾸루꾸루꾸뿌
꾸루꾸루꾸뿌

헤르페스걸리고 뽀뽀하면 바이러스 옮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27

헤르페스 걸린 사람이 다른 사람과 뽀뽀하면 옮나요? 그 수포가 다 아물지 않은 상태로 뽀뽀하면요! 어떤 경로로 그 바이러스가 옮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로 직접적인 피부 접촉, 뽀뽀 등의 경로를 통하여 전염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이야기 하신 방법을 통해서 충분히 전염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수포가 남아있거나 딱지가 있을때는 그부위에 바이러스가 남아있어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수 있습니다 완전히 새피부로 덮이기 전에는 전염가능성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네 수포가 남아있는 상태에서는 전염될 수 있습니다.

    수포 안에 액체에 바이러스가 들어있습니다.

    수포가 없을때는 전염되지 않겠지만 수포가 있을때는 접촉을 제한해주시는게 맞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네, 헤르페스(단순포진)에 걸린 사람이 수포가 다 아물지 않은 상태에서 뽀뽀를 하면 상대방에게 바이러스가 옮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입술 주위의 수포(헤르페스 1형)는 피부 접촉, 타액, 점막을 통해 쉽게 전파됩니다. 뽀뽀는 바이러스가 옮기 쉬운 행동 중 하나예요.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활성기(수포가 있거나 터진 상태)에 전염성이 가장 강합니다. 하지만 수포가 없더라도 피부 표면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어, 완전히 전염 가능성이 없는 시기라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증상이 있거나 수포가 있는 시기에는 뽀뽀, 구강성접촉, 입술 공유 등을 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바이러스의 전파 경로는 주로 직접적인 접촉입니다. 즉, 감염된 부위가 다른 사람의 피부, 점막(입술, 구강, 생식기 등)과 닿을 때 감염됩니다. 침, 수포액, 점막 분비물 등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작은 상처나 점막을 통해 침투하면서 전염이 일어나요. 예방을 위해서는 증상이 있을 때 접촉 피하기, 손 자주 씻기, 개인 물품 공유 금지 등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