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5

고지대로 갈수록 왜 산소가 부족한가요??

안녕하세요

고산지대는 산소가 부족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고산병이란 것도 존재한다고 하던데요. 높을 수록 산소가 부족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지대에서 산소가 감소하는 이유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고지대로 올라갈 수록 지구의 중심으로 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덜 받게 되고 입자 상태의 공기의 양도 감소하게 됩니다. 전체적인 공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산소의 양도 함께 감소하게 됩니다. 갑자기 고산지대를 방문하면 고산병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도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지대로 갈수록 대기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도 낮아지게되고 따라서 산소도 부족하게 되는것입니다


  • 지구의 중력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약해 집니다.

    지구의 중력은 질량이 존재하는 모든 물질에 작용됩니다.

    공기또한 질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력에 영향을 받게되고 지표에 가까울수록 지구중력을 크게 받아 공기가 많이 모이게 되고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중력의 힘이 약해져 공기의 양이 적어 집니다.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3.02.05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중력에의해 공기분자나 원소들은 지구 지표면쪽에 뭉쳐 압축된형태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고도가 올라갈 수 록 이러한 뭉쳐진 상태가 풀어지며 밀도가 낮아지고, 공기분자들간의 거리가 멀어지며 많은 공기들의 양 자체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인해 산소부족이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 지구 중심부에서 거리가 멀수록 중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사람이 중력이 느낄 정도는 아니지만 공기라면 충분히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지대의 높이가 높을수록 산소가 부족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