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조선 후기에 삼정의 문란이라는 건 무얼 말하나요?

조선 시대 후기에 삼정이 문란했다고 하여 국가 재정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음과 함께 백성들은 삼정을 피해서 도적 무리에 합류하기까지도 했다고 하는데 여기서 삼정이란 무엇을 말하며 어떤 식으로 백성들에게 고통을 안겨주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삼정은 전정, 군정, 환곡을 의미합니다. 전정은 전세이고 영정미, 대동미, 결작미 등 토지세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군정은 군역에 따른 군포 부담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환곡은 춘대추납의 빈민구휼 제도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세도정치로 인한 국정농단으로 지방관에 대한 통제가 약화되어 탐관오리가 출현하였으며, 삼정의 문란으로 농민들이 도탄에 빠졌습니다. 즉 전세의 문란, 군포 부담이 문란, 환곡제의 문란을 의미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여기서 말하는 삼정은 '세 가지 세금'의 일종인데, 전세와 군포, 환곡을 의미합니다. 전세는 땅에 대한 세금(재산세 등)을, 군포는 군역 관련해서 포를 징수하는 것을, 환곡은 곡식을 꿔주고 이에 대한 이자를 받는 것을 각각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