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검사받았는데 수치가 28나왔어요
lh호르몬 수치가 28이 넘게 나와서 의사가 mri촬영해보자고 하는데 조숙증검사시 mri하자고하는게 보편적인가요? 정확한수준을 몰라 불안해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성조숙증은 진성 성조숙증과 가성 성조숙증으로 구별된다. 뇌하수체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 증가가 조기에 활성화되어 일어나는 경우를 진성 성조숙증이라고 한다.
진성 성조숙증에서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의 농도가 높아 성선호르몬(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자극하여 사춘기의 발달이 진행되며 키가 급성장하며 뼈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많아지게 된다. 진성 성조숙증의 경우 대부분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여자에서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남자에서는 원인이 있는 경우가 많다. 원인으로는 뇌종양에 의해 성조숙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어린 나이에 발병한 여자 아이나 남자의 경우에는 뇌 MRI를 시행하여야 한다.뇌종양의 대부분은 양성으로 과오종이라고 하며 갑자기 웃는 양상의 경련이 동반될 수 있다. 그 외의 원인으로는 뇌염, 뇌수막염, 수두증, 교통사고 등의 머리 외상 등이 있다.
한편 성선자극호르몬이 증가되지 않고 난소나 그 외 다른 장기에서 성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는 경우를 가성 성조숙증이라고 하는데 난소 내에 낭종이나 종양이 생겨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되거나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이라는 병이 있어도 아이가 빨리자랄 수 있다.원인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성조숙증이 있는 경우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 아산 병원 홈페이지)
성조숙증 검사에서 시행하는 LH 호르몬의 수치는 일반적으로 5 IU/L 미만이 정상 범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28이나 나왔다면 성조숙증을 의심해볼 수 있는 정도의 수치입니다. MRI 검사는 만 7세 미만이거나 다른 질환의 가능성이 있을 때에 시행해볼 수 있는 검사입니다. 보편적이라기 보다는 필요에 따라서 시행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LH 5이상이면 성조숙증으로 생각하는데, 매우 높긴하네요.
호르몬 분비가 많아진다면 그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뇌의 시상하부에서 호르몬 분비가 과다한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수치가 워낙 높아서 필요하다고 판단하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