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2

왜 우리민족은 역사적으로 한을 많이 강조한 것인가요?

우리민족은 역사적으로 한이 많은 민족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어느나라나 어려웠던 시절은 있기 마련인데 유독 과거 우리민족의 나라들은 예술작품(글귀, 시, 창가 등)에서 왜 유독 한 많음을 강조하였던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3.09.12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외세의 침입과 유교적 문화의 영향으로 가난하고 궁핍한 생활의 연속 이었습니다.

    더군다나 예술을 하는 사람들은 신분이 미천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그 영혼이 예술로 고스란히 배어 나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는 단군의 건국이야기에 나오는 홍익인간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것에서 넓다 깊다 높다 크다의 한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그 한을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원한의 한으로 변질시켰고 원한이 우리민족 정서의 모두인양 선전한 것입니다. 물론 원한의 정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다가 아닌데도 말입니다. 식민사관으로 왜곡된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되찾는 작업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우리 민족이 역사적으로 한이 많은 민족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 민족이 오랜 세월 동안 외세의 침략과 수탈을 받아왔기 때문입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부터 시작해서, 고려, 조선 시대까지, 우리 민족은 외세의 침략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고려 시대에는 원나라의 침략으로 인해 70여 년 동안 지배를 받았고, 조선 시대에는 청나라의 침략으로 인해 200여 년 동안 지배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외세의 침략과 수탈로 인해 우리 민족은 많은 고통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고통은 민족의 정서에 깊은 상처를 남겼고, 한이라는 정서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민족의 예술 작품에서 한이 강조된 것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연관이 있습니다. 예술 작품은 작가의 정서를 표현하는 수단입니다. 따라서, 우리 민족의 예술 작품에서 한이 강조된 것은 우리 민족이 느끼고 있던 한의 정서를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민족의 예술 작품에서 한이 강조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 우리 민족은 오랜 세월 동안 외세의 침략과 수탈을 받아왔습니다. 이러한 외세의 침략과 수탈로 인해 우리 민족은 많은 고통을 겪었고, 한이라는 정서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 예술 작품은 작가의 정서를 표현하는 수단입니다. 따라서, 우리 민족의 예술 작품에서 한이 강조된 것은 우리 민족이 느끼고 있던 한의 정서를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한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따라서, 우리 민족의 예술 작품에서 한이 강조된 것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어느 나라나 어려웠던 시절은 있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다른 민족에 비해 유독 한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 민족의 역사적 경험과 정체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