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직전에 사람의 뇌파는 감마파가 많이 나오는게 사실인가요
죽기직전에 사람의 뇌파는 어떤 영향이 발생하는지 그리고 왜 감마파가 많이 나오는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감마파는 사람이 집중상태에들어갈 때 나오는 고주파뇌파로, 죽기직전의 사람에게 실제로 많이나온다고합니다.
죽음의순간에 생존을위한 마지막 초집중상태라고도 볼 수있고, 마지막 인사를 하기위한 에너지를 집중시키는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힘없이지내던분이 임종에 갑자기 분명한행동과 말을 하는것과도 연관이 있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감마파는 30Hz 이상의 고주파 뇌파인데,
집중력이나 인식, 고차원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고합니다.
죽음직전에 이런 감마파가 증가한다는 결과는
일부연구에서 밝혔는데,
생명체가 죽음에 직면하며 의식적으로
마지막순간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을것이라고 합니다.
죽음의순간 뇌는 생존을위한 본능적인 반응을 일으키고
순간적으로 살기위한 방법을 찾기위해 집중하는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말씀하신대로 죽기 직전 사람의 뇌에서 감마파가 많이 나온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과거 회상이나 꿈을 꿀 때 나타나는 뇌파와 유사하여, 일종의 '주마등 현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즉, 감마파가 증가하는 이유로 뇌가 죽음에 다다르며 주마등 현상을 겪는 것일 수도 있지만, 뇌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뇌 활동의 변화일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죽기 직전 뇌파의 변화, 특히 감마파 증가는 확인이 되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을 알지는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맞습니다. 고려대학교 연구팀에 따르면, 사망한 환자들의 뇌가 뿜어낸 전자파 종류가 감마파라고 발표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람이 죽기 직전에 뇌에서 감마파가 증가하는 현상은 일부 연구에서 관찰되었으며, 특히 임사체험이나 극도의 스트레스 상태에서 감마파 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마파는 주로 집중, 인지적 통합, 의식의 고차원적 처리를 할 때 나타나는데, 임종 전 순간의 감마파 증가는 뇌가 극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각성 상태를 유지하거나, 삶의 기억을 마지막으로 정리하는 과정일 수 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감마파의 증가가 정확히 어떤 경험과 연결되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다양한 생리적 반응이 혼합된 결과일 가능성도 연구 중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