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3.26

재미삼아 집 반려견을 거울로 비춰졌는데...

혹시나 어떤 반응을 보이나 싶어서 전신 거울 앞에 10년쨰 같이 살고 있는 반려견을 데리고 갔는데..

너무도 싱겁게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던데...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대체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궁금하구요

동물들중에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알 수 있는 동물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일부 동물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반응을 보입니다. 이러한 동물들 중 대표적인 예로는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가진 일부 영장류인 침팬지, 오랑우탄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조류, 포유류, 어류 등도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비춰진 이미지를 다른 동물로 인식하거나, 혹은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동물의 종류나 인지능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물에게 거울 실험을 시행하기 전에는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대체로 다양한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개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눈을 깜빡이거나 머리를 돌리는 등의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고양이도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면 호기심을 느끼고, 거울에 대해 냥냥이 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동물들이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알고 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일부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다른 동물로 인식하고,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물들이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며, 각 동물들의 종류, 개인적 성격, 경험 등에 따라서도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예, 일부 동물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를 거울 자각능력(Mirror self-recognition ability)이라고 합니다. 이 능력은 인간뿐만 아니라 일부 동물들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연구하기 위해 거울 자각성 실험을 진행합니다.

    거울 자각성을 보이는 동물 중 대표적인 것은 인간, 침팬지, 고릴라, 돌고래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도롱뇽, 코끼리, 고양이 등 다른 동물들도 거울 자각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다른 동물로 오인하거나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알아보는 동물은 일부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을 자기인식력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면, 인간, 침팬지, 고릴라, 돌고래, 코끼리 등이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대부분의 동물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면 주먹질을 하거나 위협적인 행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동물들은 자기 자신이 거울에 비친 모습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동물들 중에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는 동물도 있지만, 대부분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유인원이나 물개 등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알아보고 반응을 보이지만, 대부분의 반려동물인 개나 고양이는 거울에 비친 모습을 이해하지 못해 무반응일 수 있습니다. 이는 동물들이 자신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이 우리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영장류

    인간 - 거울에 대해 배우지 못한 유아도 12개월부터 미러 테스트를 통과한다.

    오랑우탄 - 오히려 장성한 수컷들은 마크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너무 공격적이기 때문이라는 듯.

    침팬지 - 역시 장성한 수컷들이 마크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마찬가지 이유.

    보노보 - 위 두 영장류들과는 달리 장성한 수컷들도 마크 테스트를 통과했다. 온순한 습성 때문인 듯.

    고래류

    범고래

    큰돌고래 - 심지어 거울에 비친 자신들을 바라보며 교미하는 커플도 있었다.

    흑범고래

    장비류

    아시아코끼리 - 처음엔 인식을 못하는 줄 알았으나 알고 보니 거울이 너무 작았기 때문이었고, 2.5m 이상의 대형 거울을 가져다 비춰주자 자기 자신을 인식했다.

    말류

    말 - 별다른 훈련 없이 마크 테스트를 통과했다.

    조류

    까치 - 별다른 훈련 없이도 마크 테스트를 통과한다.

    까마귀 - 별다른 훈련 없이도 우수한 성적으로 마크 테스트를 통과했다.

    비둘기 - 훈련을 거친 비둘기만이 마크 테스트를 통과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에는 깜짝놀라 뒷걸음 치고 경계를 하다 서서히 경계를 풀고 거울근처에서 놀더라구요 저희강아지는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모습을 다른 동물로 인식하며, 자신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몇몇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이해하고,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침팬지, 고릴라, 인간 등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자신을 확인하기 위해 거울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반려견의 경우, 거울에 비친 모습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거울이나 유리에 비친 모습이 신기한 것으로 인식되거나, 소리나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호기심을 느끼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본적으로 IQ가 높아 일반적으러 인간의 3~4세정도되는 동물들은 거울을 보고 자기 모습이라는 것을 알수있다고합니다. 그런 동물들은 침팬치, 우랑우탄, 고릴라, 돌고래등이 있다고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6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부 동물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은 모든 동물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거울 자체에 대한 반응은 동물의 종류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입니다.

    • 개나 고양이 등 일부 동물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할 수 있으며,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면 놀라거나 경계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일부 원숭이와 새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이를 상대적으로 다른 동물의 모습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거울을 사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거나 주변 상황을 관찰하기도 합니다.

    • 일부 물고기는 거울을 사용하여 먹이를 찾거나 둥지를 만들기도 합니다.

    • 반면에 일부 동물은 거울에 대해 반응하지 않거나, 거울을 향해 무관심하게 지나가기도 합니다.

    즉,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할 수 있는 동물이 있지만, 이는 동물의 종류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며, 모든 동물이 이러한 능력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