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1.13

수학적 개념인 ‘좌표’는 어떻게 탄생했나요?

인간 삶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GPS에 쓰이고 네비게이션, 건축 도면 설계, 인공위성 등에 쓰이는 기초 개념인 좌표는 어떤 수학자에 의해 어떻게 탄생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좌표는 직선, 평면, 공간에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값을 말합니다. 데카르트가 처음 발명하고 발전시켰는데, 발며하게된 계기가 파리가 천장에 붙어있는것을 보고 그 파리의 위치를 나타내려다가 발명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평면(2차원)에서는 원점에서 만나는 X축(가로)과 Y축(세로)을 사용해서 점의 위치를 (x,y)로 표현하는데 그것은 컴퓨터 그래픽스(CG)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픽셀의 위치를 이야기할 때도 마찬가지로 사용됩니다.

    또 컴퓨터 기억 장치 내의 위치를 지정할 때도 좌표가 쓰입니다. 3차원(입체공간)에서는 X축, Y축, Z축을 사용해서 점의 위치를 좌표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2차원 평면에서 (3,4)자리는 원점으로부터 X축으로 오른쪽 3, Y축 위로 4의 위치가 만나는 곳입니다. 또한 컴퓨터 화면에서의 픽셀 좌표를 표시할 때도 width, height 길이를 구해서 표시를 하는데 x축, y축과 같은 개념입니다.

    이처럼 특정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값을 좌표라고 하고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좌표계가 사용됩니다.

    출처: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좌표는 인간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GPS 네비게이션 건축 도면 설계 인공위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죠.

    좌표는 수학적 개념으로서 수학자 르네 데카르트에 의해 탄생하였습니다. 르네 데카르트는 17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였습니다. 그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결합하여 좌표를 발명하였습니다.

    그 당시에는 기하학과 대수학이 분리되어 있었는데 기하학은 도형의 형태와 크기를 다루는 분야였고 대수학은 수와 식을 다루는 분야였습니다. 르네 데카르트는 이 두 분야를 결합하여 도형의 위치를 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고안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르네 데카르트는 수직선과 수평선을 이용하여 좌표평면을 만들었습니다. 수직선을 x축 수평선을 y축으로 정하고 이 두 축이 만나는 지점을 원점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리고 각 축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좌표입니다.

    이렇게 발명된 좌표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였고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GPS나 네비게이션 건축 도면 설계 인공위성 등은 모두 르네 데카르트의 발명한 좌표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르네 데카르트의 발명한 좌표는 현대 과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인간 삶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좌표 개념은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직교 좌표계인 '카르테시안 좌표계'입니다. 이는 프랑스 수학자 레네 데카르트에 의해 17세기에 도입되었습니다. 디카르트는 대수와 기하학을 통합하기 위해 좌표를 도입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좌표는 현재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수학적 개념 중 하나입니다. 좌표는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쌍으로, 두 개의 축을 사용하여 평면 위의 점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좌표라는 개념은 17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르네 데카르트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레네 데카르트는 좌표를 이용하여 기하학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는 평면을 가로지르는 두 개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임의의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좌우 방향과 위아래 방향으로 각각 수직선에 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이러한 좌표 체계를 '카르테시안 좌표계'라고 부릅니다.

    카르테시안 좌표계는 기하학적 문제뿐 아니라, 물리학,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좌표를 이용한 수학적 개념은 현재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래픽 처리나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좌표는 17세기에 데카르트가 도입했습니다.

    좌표평면을 x축과 y축으로 정의하였습니다.

    데가르트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통합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원과같은 도형도 수학의 방정식으로 표현할수 있게되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좌표는 직선, 평면, 공간에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값을 말합니다. 보통 평면(2차원)에서는 원점에서 만나는 X축(가로)과 Y축(세로)을 사용해서 점의 위치를 (x,y)로 표현하는데 그것은 컴퓨터 그래픽스(CG)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픽셀의 위치를 이야기할 때도 마찬가지로 사용됩니다.


    또 컴퓨터 기억 장치 내의 위치를 지정할 때도 좌표가 쓰입니다. 3차원(입체공간)에서는 X축, Y축, Z축을 사용해서 점의 위치를 좌표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2차원 평면에서 (3,4)자리는 원점으로부터 X축으로 오른쪽 3, Y축 위로 4의 위치가 만나는 곳입니다. 또한 컴퓨터 화면에서의 픽셀 좌표를 표시할 때도 width, height 길이를 구해서 표시를 하는데 x축, y축과 같은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