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이트족은 어떻게 추운지방에 살 수 있나요?
이누이트족은 그린랜드, 알래스카, 시베리아 등 추운 북쪽지방에서 산다고 들었는데요. 어떻게 영하의 기온인 그곳에서 살 수 있는지 유전적으로 우리와 어떻게 다른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로 에스키모라고 하는데 이 명칭은 캐나다 인디언이 ‘날고기를 먹는 인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인 것입니다. 그들 스스로가 부르는 이누이트(Innuit:‘인간’을 뜻함)이라고 하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 분포는 그린란드에 약 2만 5천명, 캐나다에 약 1만 1천명, 알래스카에 약 1만 7천명, 시베리아의 베링해(海) 연안에 약 1,600명으로 도합 약 5만 5천명입니다. 19세기 중엽 이후 백인과의 접촉이 잦아지면서 몇 차례 전염병이 유행하여 19세기 말에는 인구가 격감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 뒤에 와서는 사망률의 저하로 지금은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극지방의 동물들은 체온 유지를 위해 두꺼운 지방층이 있는데, 이누이트들도 이 비계를 즐겨 먹습니다. 이는 이누이트 뿐만 아니라 핀인, 노르드인, 러시아인 등 추운 지방에 사는 민족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추운 지방에서는 체온 유지를 위해 필요한 섭취 칼로리가 매우 높기 때문으로 일반 성인 남성이 보통 2,000Kcal를 필요로 한다면 극지방 탐험대의 경우 하루에 12,000Kcal라는 무시무시한 에너지를 섭취해야 합니다. 채소나 과일로는 수십Kg을 먹어야 하기 때문에 불가능하고, 단백질로도 섭취하기 어려운 양입니다. 그래서 심지어 야채를 먹을 때도 기름에 찍어먹는 등 지방의 섭취를 해야만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답니다.
빈모증이나 무모증인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고 한다.추운지방에서 오래 지내온 탓에 체모가 자라지 않는 쪽으로 바뀐 듯 합니다. 현재의 동아시아인들이 체모가 적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네이버 지식백과] 이누이트 [Innuit]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나무위키 이누이트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에스키모의 혈통은 알류트족과 가까우며, ‘이누이트’라는 말은 종종 에스키모와 동의어로 쓰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에스키모나 이누이트족이 이글루라는 얼음집에서 거주한다고 생각하지만 이글루는 몇날 며칠 걸리는 긴 사냥에서 임시로 머물기 위한 일종의 베이스 캠프이자 겨울용 집이고, 상대적으로 따뜻한 여름철에는 동굴에서 거주했다고 합니다. 물론 겨울에는 춥기도 하지만 여름 낮기온ㅇㄴ 생각 보다 그렇게 춥지 않답니다. 낮 최고 기온이 0도에서 영상 2-3도 정도이기 때문에 개중에는 귀틀집이나 판자집같은 단순한 형태의 나무 집을 짓고 살기도 했다고 합니다. 인간은 환경의 동물이기에 아무리 춥고 더워도 시간이 지나면서 다 적응해 나가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