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7.30

고려시대 경시서는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궁금합니다.

과거 조상들의 관계 기관에 대해서 검색을 하고

알아 보고 있습니다.

여러 기관들 중에 고려시대의 경시서라는 곳이 있던데

고려시대 경시서는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3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ㆍ조선 시대에, 시전(市廛)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입니다.

    고려 문종 때 개경의 시전을 관할하기 위하여 설치하였으며, 조선 세조 12년(1466)에 평시서(平市署)로 이름을 고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시서는 고려, 조선시대 시전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입니다.

    물가의 조절, 상인들의 감독, 세금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경시서는 오늘날의 경제경찰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였는데 주로 수도 개성의 시장, 상점을 검색하여 상인들의 부정행위를 검색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물가의 안정을 위해 물건의 값을 정한다거나 통용되는 화폐에 표인을 찍는 임무도 담당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문종때 개경의 시전을 관할하고 감독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아입니다.

    조선 시대에 와서 평상시로 이름을 고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경시서는 시전을 관리감독하는 기구입니다. 오늘날로 치면 공정거래위원회 정도의 역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시전은 관청에서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는 곳인데 대표적 물품 여섯가지를 취급하는 시전을 육의전이라고 불렀습니다. 과거에는 오늘날과 같이 시장이 발달해 있지 않아서 과점이나 시장교란이 쉽게 일어나 과도한 이익을 취할 수 있었는데 이를 관리감독하는 기구가 경시서입니다. 경시서는 고려 때는 개경에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한양에 자리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시감(京市監)이라고도 한다. 고려 문종(文宗) 때는 경시서에 관원으로 영(令:정7품) 1명, 승(丞:정8품) 2명을 두었고, 충렬왕(忠烈王) 때는 영을 권참(權參)으로 고치고, 승을 3명으로 증원하였다가 공민왕(恭愍王) 때 승을 종8품으로 강등하였다. 이속(吏屬)으로는 문종 때 사(史) 3명, 기관(記官) 2명을 두었다.


    조선시대에는 태조가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물가의 조정, 상인들의 감독, 국역의 부과 등을 맡아보게 하였다. 이 밖에 도량형기(度量衡器)를 단속하고, 물가를 억제하는 등 일반 시장의 행정사무도 담당하였으며, 저화(楮貨)의 유통 촉진에도 힘을 썼다.


    관원으로는 영 1명, 승 2명, 주부(主簿) 2명을 두었으며, 그 후 여러 차례 변동되다가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개혁할 때 이를 평시서(平市署)로 개칭하였다.

    출처 :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시서는 시전을 검속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고려시대부터 물가의

    안정을 위해 물건의 값을 정한다거나,

    통용되는 화폐에 표인(標印)을 찍는

    일 등을 담당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