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물어보는 것에 다 찾아서 알려줘야 하나요?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 부쩍 이것저것 물어보기 시작합니다. 아는건 간단히 알려주고 모르는건 찾아서 알려주곤 있는데, 가끔 꽃이름을 물어보거나 하면 찾아는 보지만 못찾는 경우가 많아 모른다고 하기도 하는데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능하면 찾아주는것이 좋을수있으나
모르는것에 대해서 물어본다면 같이 찾아보자고 아야기 하고 다음번으로 넘기는것도 나쁜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어느 정도의 호기심은 발달적으로도 정상적으로 볼 수 있답니다.
영아의 호기심은 대부분 입으로 탐색하지만, 유아의 호기심은 궁금한 것이 많아지는 지적 호기심으로 옮아가기 때문에 하루에도 수 없이 왜? 라는 질문을 할 수 있어요
가끔은 아이의 질문에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라고 아이가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해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질문이 많은 건 호기심이 많다는 것입니다.
일일이 대답해주고 찾아서 해결해줘야 하지만 부모가 대답을 해주지 않으면 아이는 더 이상 질문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질문을 하는 것도 지금 이 시기에만 볼 수 있는 모습들이므로 아이의 물음에 귀 기울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호기심이 많은 아이들이 그냥 지나치지 못합니다. 질문을 많이 하고 꼭 그 질문에 해답을 들어야지만 직성이 풀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의 호기심을 그냥 방관하지 마시고 아이가 물어보는 질문에는 그 즉시 그 문제의 답을 들려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꽃이름을 물어보았는데 함께 찾아보았지만 못찾은 경우에는 그 사진을 캡쳐 하시고 아이에게 이렇게 말을 해주세요.오늘 못찾은 것은 다음에 알려주도록 할까 라고 아이에게 부드럽게 말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궁금한 것이 많은 이유는 당연한 것입니다.
이때 부모가 답을 해주는 과정을 통해 아이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는
것에 대한 기쁨을 느낀다고 합니다. 굳이 정확할 필요는 없습니다. 함께 몰랐던 사실을
찾아보는 과정으로도 아이는 기쁨을 느끼고 행복함을 느낀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잘 모르겠는 것은 같이 '찾아보자'라고 하시고 인터넷 검색이나 도감등을 함께 찾아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래도 잘 모를경우는 아하를 이용해 질문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 알려주시는 것보다는
아이가 먼저 왜 그런지 생각해보도록
유도하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궁금한 것이 있다면 최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주기 위해서 노력을 해본 후에 없다면 솔직하게 아이에게 이야기를 하고 다음에 알게 되면 알려준다고 말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