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4

물은 왜 얼리면 불투명해지나요?

물은 원래 색상은 투명색인데 얼리게 되면 불투명해지더라구요. 물은 왜 얼리면 투명색이 아니라 불투명해지는 것인지 과학적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1.24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상태에서 물을 얼리면 물 속에 녹아있던 미세한 기체들이 얼음알갱이
    사이사이에 나타나게 되어 불투명하게 보입니다.
    물을 일단 끓인 후에 급속히 얼리게 되면 투명한 얼음이 되는데
    이것은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물속에 녹아있던 기체들이 상당량 증발해버리기
    때문에 얼음속에 기체알갱이들이 적어져서 그렇습니다.


  • 물 속에도 기체가 섞여있습니다.

    온도가 낮으면 기체는 더 많이 녹아있습니다.

    그런데 물의 온도가 올라가면 기체는 물 속에 있지 않고 물 속에서 빠져나가려고 합니다.

    겨울철의 물이 굉장히 차갑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틀어 따뜻해지면 물 속에 있던 산소가 빠져나가게 되고,

    산소 기포가 생겨 물이 뿌옇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 기포가 물속에서 빛을 난반사시켜 불투명한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런 현상을 백수현상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