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장군의 유해가 이제 들어온 이유가 무엇인가요?
독립군 장군으로 중국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독립운동을 한 홍범도장군의 유해가 수십년이 지나서 지금 이제야 우리나라로 들어온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고국으로 돌아오기까지 78년이 걸렸다고 합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부는 1992년 카자흐스탄과 국교를 맺은 뒤 홍 장군의 유해 봉환을 추진해왔습니다. 김영삼 정부 당시인 1995년에는 카자흐스탄에 안장된 홍범도 장군 묘소에 대한 조사도 처음으로 이뤄졌으나, 북한과 카자흐스탄 교민들의 반발로 구체적인 논의가 진척되지 않았습니다. 평양 출신인 홍 장군은 카자흐스탄 교민사회에서 정신적 지주로 구심점 역할을 해왔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뒤 홍 장군 유해봉환과 관련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에 이르렀는데, 문 대통령은 2019년 4월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때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에게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을 공식 요청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양 정상은 2020년 6월 봉오동 전투 전승 100주년을 기해 귀환을 추진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연기됐고, 2021년 8월 15일 유해봉환이 이뤄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 유해봉환 사업은 1946년 윤봉길·이봉창· 백정기 의사 유해를 시작으로 이번 홍범도 장군 유해봉환까지 총 144위의 유해가 국내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91년 카자흐스탄이 구 소련에서 독립 후 김영삼 대통령이 유해 송환을 추진하나 당시 남북한 대사관 간에 외교전이 일어났고 홍범도 유해 송환을 추진한 것은 남한보다 북한이 앞서, 이미 1993년 부터 1994년까지 북한은 카자흐스탄 정부에 대해 홍범도의 유해를 북한으로 송환하겠다고 했지만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사회에서 나서서 이를 거부했습니다.
또 소련이나 친소 성향 위성국들은 중국-소련 국경분쟁 당시 중립을 지향한 것때문에 북한을 달갑지 않게 여겼고 이 후 북한이 핵실험을 진행하면서 고려인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이 바닥을 치는데 2015년 말 카자흐스탄 수도에 대사관을 개설하겠다고 하나 2016년 4차 핵실험으로 불허당하고 2017년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카자흐스탄 고려인들이 규탄하며 카자흐스탄은 북한과의 거의 모든 관계를 동결하게 됩니다.
광복 전까지 소련에서 여생을 보냈고 출생지도 평양인지라 북한이 유해를 평야으로 모셔가자면 가능했지만 당시 김일성은 자신의 항일 업적만 내세우고 자신을 항일무장투쟁의 중심으로 내세우기 위해 홍범도 장군의 봉오동 전투와 같은 항일무장투쟁은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가 유해 봉환을 추진합니다.
안녕하세요.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수십년이 지나서 이제야 우리나라로 들어온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냉전의 종식과 한반도 분단의 완화로 인해, 한국과 카자흐스탄 간 교류가 활성화된 덕분입니다. 1990년대 이후, 한국과 카자흐스탄 간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국내로 봉환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카자흐스탄 정부와 고려인 협회의 협조가 있었습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한국으로 봉환하는 데 적극적으로 협조했으며, 고려인 협회는 유해 봉환을 위한 국내외 여론 조성에 힘썼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가 있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후, 홍범도 장군의 유해 봉환을 국가적 의무로 여기고, 2019년 10월 카자흐스탄을 방문하여 유해 봉환을 공식적으로 요청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21년 8월 15일,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조사를 해본 결과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홍범도 장군은 1937년 스탈린에 의해 이뤄진 고려인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해 당시 소련 영토였던 현재의 카자흐스탄 땅으로 강제 이주되었고 카자흐스탄에서 사망하게 됩니다.
그레서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카자흐스탄에 있다가 오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