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에 신분에 따라 계단의 사용을 제한했다고 하는데 이유는?
신라시대에는 가옥을 지을때 신분에 따라 계단 사용에 차등을 두었다고 하는데요.
굳이 방의 갯수나 집의 높이 담의 높이가 아닌 계단의 차이는 왜 두었을까요?
평지가 아닌 집에는 신분에 상관없이 계단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을텐데요.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시대 신분제도를 골품제라 하는데요,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해 가는 과정중에 각지방의 부족장들을 세력의 크기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중앙귀족에 편입시키면서 생겨난 제도입니다.
골품에 따라 올라갈 수 있는 관직도 제한을 두었고, 집의 크기, 장신구, 옷의 색, 수레를 끄는 말의 수 등등
일상생활과 관련한 많은 것들이 규제했습니다.
신분은 세습되었고, 신분 이동은 매우 어려웠답니다.
부모가 모두 왕족이면 성골!
부모 중 한쪽만 왕족이라면 진골입니다. 최고의 지배층 계급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신라시대에는 신분에 따라 계단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이 제도는 경주지방에서 발견된 8세기경의 금속문양으로 확인됩니다. 이 문양은 양반(양민)과 노비(농민) 등의 계급을 나타내는데, 각 계급마다 다른 형태의 계단을 사용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계단 사용 제한은 신라시대 사회의 계급제도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신라시대에는 양반과 노비, 그리고 신분이 낮은 자들이 존재했습니다. 양반은 고급 주거지에서 생활하고, 노비와 낮은 신분의 자들은 일반적으로 저차원적인 지역에서 생활했습니다. 따라서, 계단 사용 제한은 양반들의 상징적인 지위를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계단 사용 제한은 경제적인 이유에서도 있었을 수 있습니다. 고급 주거지에서는 일반적으로 계단을 사용하는 것이 일상적이었지만, 높은 층수의 건물을 짓기에는 그 당시의 기술력이 한계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높은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계단보다는 경사진 지면을 이용한 기와지붕 등의 건축 기술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계단 사용 제한은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의미를 가졌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시대에는 사람들의 신분에 따라 계단 사용이 제한되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이는 일부 귀족층이 계단을 사용하면서 일반인들이 귀족층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생겨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당시에는 계단이나 계단식 구조물이 귀족층의 주거나 공공시설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귀족층은 계단을 사용하면서 상대방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이 일상화되었고, 일반인들은 귀족층을 보면서 일어설 필요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은 계단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제도가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제도는 이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어 사용되었으나, 조선시대에는 계단 사용 제한이 완화되어 일부 대중들도 계단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