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늘씬한가재124
늘씬한가재12423.07.23

교회의 십일조 유래는 어떤 이유로?

교회에서 말하는 십일조는 어떤 유래에서 생겨났나요? 그리고 이와 관련 십일조의 당위성이 있나요? 안 내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구약에서 야곱의 아들 열 두 지파 중에 레위 지파라고 있었는데

    이들은 땅을 분배받지 못했고 제사장의 직무를 담당하였습니다.

    따라서 레위지파를 위해서 수입의 십분의 일을 낸 것이 십일조의 유래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회의 십일조 유래는 구약성경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최초의 십일조는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한것이고요,

    이스라엘 백성들은 기본적으로 십일조를 했습니다.

    이 십일조로 유대교의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를 담당하던 제사장과 레위인들의 생활을 유지하는데 사용하였습니다.

    이러한 십일조가 교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지요.

    십일조는 자기가 다니는 교회의 문화에 따라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안낸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십일조란 하나님께 드리는 수입의 10의 1을 말합니다.

    십일조는 하나님의 율법으로 강조하셨고 성경 곳곳에서 고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땅의 생산물, 나무와 과일, 소 와 양의 10의 1을 바 치라고 명령하셨다(레 27:30-32; 신 14:22). 십일조를 드리지 않는 것은 하나님의 것을 도 둑질하는 행위이다(말 3:8~9)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십일조는 성경에 그 유래가 나옵니다. 창세기 에 등장하는 아브라함 의 행적에서 기원하는데 아브라함이 조카 롯 을 구출하고 돌아오는 길에 하나님의 제사장인 멜기세덱 을 만났다고 합니다. 멜기세덱은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 아브라함을 축복했고 아브라함은 얻은 것에서 10분의 1, 즉 십일조를 감사하는 마음으로 멜기세덱에게 봉헌했다고 하는 것에서 유래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십일조”란 수입의 십분지 일을 하나님께 바친다는 뜻에서 히브리어 “마아셀”이란 어휘에서 기원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를 신약 헬라어에서는 “데카테에”라고 번역하였고, 영어에서는“타이쓰(Tithe)”라고 번역하였다고 하는데, 주로 이 십일조 연보는 성직자들의 생활비와 교회 유지비에 충당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든 소유와 생산의 1/10, 곧 수입의 십분의 일을 하나님께 드리는 헌금을 말한다.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바친 십일조가 기원이다(창 14:20). 구약에서는 구제, 성전 보수, 제사장의 몫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크게 셋으로 구분되었다. ① 제1의 십일조 - 이스라엘 백성을 대표하여 성전에서 봉사하는 책임을 맡은 레위인(제사장 포함)의 생계를 위해서 일반 백성이 자신의 소득의 1/10을 헌상한 것(민 18:21-24). ② 제2의 십일조 - 성전 내의 각종 행사나 성전 기구들의 수리 및 보수를 위해 헌상한 것(신 14:23-27). ③ 제3의 십일조 - 안식년을 기준하여 매 3년마다(세 번째 해와 여섯 번째 해) 그 해의 십일조를 비축해 두었다가 고아와 과부와 객 등 가난한 이웃을 위해 쓰도록 한 것(신 14:28-29; 26:12-13, ①을 ③의 범주에 넣는 견해도 있다). 한편 예수께서는 십일조에 대해 교훈하시면서 물질뿐만 아니라 시간, 마음 등 전 인격을 하나님께 드리라고 말씀하셨다.

    여기서 1/10은 일부분이라는 개념이 아니라 10/10을 대표하는 1/10의 역할을 말한다. 즉, 십일조는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왔음을 인정하고, 만물이 하나님의 소유요, 그래서 모든 인생은 오로지 하나님의 은혜로만 살아갈 수밖에 없음을 고백하는 신앙 행위의 한 부분이다(고후 9:6-7). 성경에서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바친 이래, 야곱도 하나님께 십일조를 드리기로 약속하고 있다(창 28:22). 또 모세 율법에는 곡식, 포도주, 기름 등 주요 농산물과 심지어 땅이나 가축들에 대해 십일조를 드리도록 규정하고 있다(레 27:30-33; 대하 31:5-6). 또 어떤 시대에는 특별한 십일조가 요구되기도 했으며(신 12:5-18; 14:22-29), 십일조를 드리지 않는 것은 하나님의 것을 절도하는 도둑질 행위로 간주되었다(레 27:31; 신 26:13-15; 말 3:8-9).


    그리고 후대로 오면서 유대 지도자들은 십일조를 아주 사소한 것까지 세분하여 땔나무나, 채소의 십일조까지 명문화하였다. 이런 배경에서 신약 시대의 바리새인들은 박하와 회향과 근채의 십일조까지 하였지만(마 23:23), 예수께서는 율법의 근본 정신을 외면한 채 형식에만 치중한 십일조를 책망하셨다.

    출처 : 라이프성경사전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십일조의 기원은 율법이 아닌

    아브라함과 야곱에 기인합니다.

    자발적인 것이 율법에 포함이 된

    것입니다. 태어나지 않은 레위인도

    아브라함으로 말미암아 십일조를

    드렸음이 성경에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법은 하나님께 드리되 사랑함으로 드려야 한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출처:당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