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도교에서는 왜 불교를 힌두교의 분파로 보나요?
힌두교와 불교는 비록 같은 지역에서 탄생하긴했어도 교리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그럼에도 힌두교가 불교를 힌두교의 한 분파로 생각하는 이유가 있나요?
- 힌두교는 불교와 브라만교 그리고 - 여러 종교와 이데올로기를 합친 종교입니다. - 따라서 신이 매우 많습니다. - 붓다(부처)도 그중 하나이죠. - 그러한 이유로 불교를 하나의 분파로 보는 것 입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수려한백로159입니다. - 말씀대로 불교는 힌두교와 같은 지역에서 발생했는데, 처음부터 완전히 다른 종교라기보다는 힌두교의 원시적인 형태인 베다 경전 기반의 브라만교를 극복, 재해석 하는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그래서 분명 교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르지만, 둘 다 해탈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죠. - 어쨌든 불교는 교조인 석가모니의 탁월성에 힘입어 한 때 전통 브라만교를 누르고 인도의 주류 종교가 되었지만, 이후 자신만의 색체를 잃고 힌두교와 차별점이 없어지는 형태로 변질되다가, 10세기 이후 이슬람교의 진출로 인해 사실상 인도에서는 그 세력이 와해가 되었습니다. 그나마 불교의 명맥은 티베트 중국 등 인도 이외의 지역으로 옮겨 감으로써 새로운 번영을 맞이하게 되죠. - 그러한 그 과정에서도 불교의 교리의 일부가 힌두교 전통의 일부 편입 되는 등, 불교 입장에서는 어이 없지만 적어도 인도 내에서는 불교가 힌두교의 일부로 인식되게 됩니다. 그것도 정통 힌두교 신앙이라기보다는 사파 정도로 간주되는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도 힌두교 3신 중 하나인 비슈누의 화신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그것도 옳고 정의로운 화신이 아닌, 인간 세계에 잘못된 가르침(불교)을 전파해 힌두교의 원래 신앙의 성스러움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형태라 심히 고인모독 스러운 점도 있죠. - 이와 함께 힌두교 자체가 어떤 딱딱한 교리 체계나 체계적인 교단 같은게 없이 두루뭉실하게 이거든 저거든 다 힌두교다라는 모호성이 있기 때문에, 같은 인도 문화권에서 발생한 불교도 힌두교의 일부로 보는 건 어쩌면 당연한 귀결일 수도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