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가 고체로 상태변화하면 부피가 줄어드나요?
액체가 고체로 상태변화하면 부피가 줄어드나요? 거의 모든 액체가 고체로 상태가 변하면 부피가 줄어드는것이 사실인가요? 예외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경우, 액체가 고체로 상태 변화할 때 부피가 줄어듭니다. 이는 액체의 분자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 고체로 변할 때 분자들이 더 조밀하게 배열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으로 분자 간의 결합이 강해지면서 발생하며, 이 때문에 고체 상태에서는 동일한 질량의 물질이 더 작은 부피를 차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예외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물이 있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어 고체 상태로 변할 때 오히려 부피가 증가합니다. 이는 물 분자가 얼음을 형성할 때 결정 구조를 이루면서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공간 때문에 얼음은 물보다 부피가 크며, 이로 인해 얼음이 물에 뜨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액체가 고체로 변할 때 부피가 줄어들지만, 물과 같은 특정 물질은 예외적으로 부피가 늘어나는 특성을 보입니다. 이와 같은 특성은 물질의 분자 구조와 결정 구조에 따라 달라집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물을 제외한 거의 모든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될때 부피가 줄어 듭니다. 일반적인 물질은 액체상태일때보다 고체상태일때 분자간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고체상태의 크기가 더 작아서 부피가 줄어듭니다.
하지만 물의 경우 액체에서 고체가 될때 물의 수소 결합때문에 분자간의 결합보다 강한힘이 발생하여 독특한 구조를 이루게 됩니다. 소위 육각수라 불리우는 구조를 갖추게 되어 액체에서 고체가 되었을 때 수소결합에 의한 구조로 인해 분자의 부피가 오히려 더 커지게 되어 얼음이 물에 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럼 질문 주셔서 감사드리고 궁금하신점 있으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