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세상에는 수많은 동식물들이 있습니다.
발견된 종들도 있고,
추가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종들도 있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앞으로 발견될 종들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멸종위기종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다고 알고 있는데,
기본 개체수가 적은 동식물의 경우에는 발견하자마자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특정 종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거나 매우 적은 경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체수가 일정 수 이하로 떨어지면 멸종위기로 간주될 수 있어요.
서식지가 파괴되거나 감소하는 경우, 종의 생존 가능성이 줄어들어 멸종위기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종의 분포 범위가 좁고, 특정 지역에만 고립되어 있는 경우에도 멸종위기종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멸종위기종의 분류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 목록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개체수 감소: 특정 기간 동안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경우.
2. 개체수: 현재 개체수가 매우 적거나 특정 지역에만 존재하는 경우.
3. 서식지 손실: 서식지가 파괴되거나 감소하여 생존에 위협이 되는 경우.
4. 생존 가능성: 자연에서의 생존 가능성이 낮거나, 특정 위협(예: 포획, 서식지 파괴 등)에 노출된 경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는 기준은 단순히 개체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사용하는 기준은 개체수 감소율, 서식지 감소, 개체군의 크기, 분포 범위, 환경 변화 등입니다. 기본적으로 개체수가 적다고 바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지는 않으며, 개체수가 적어도 안정적으로 번식하고 생존할 수 있으면 멸종위기종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서식지 파괴나 환경 변화로 인해 급격한 감소 위험이 있으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절멸위험의 정도에 따라서 구분합니다. 멸종위기 범주에는 위급, 위기, 취약, 준위협, 관심대상 등으로 나누어 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