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과일값이 역대 최대치라고 하는데, 물가는 어떻게 해야 안정이 될까요?

제철과일이라고 해서 가격이 저렴하기는 커녕 요새는 한국 과일보다

오렌지나 바나나등 수입과일의 소비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저 역시 과일을 안 먹거나 냉동과일로 대체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작황이 안좋아서 공급부족으로 과일값이 이렇게 오를 수 있는지

정부에서는 농산물가격안정에 손놓고 있는 거 같아서 안타까울뿐입니다.

언제쯤 농산물 가격 특히 과일과 채소값이 안정세가 올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과일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게 된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게 되면서 발생한 달러환율의 상승이 큰 문제라고 볼 수 있어요. 달러환율이 상승하자 수입 원자재 가격이 증가하게 되면서 원가와 유통비용이 증가하게 되어서 이러한 비용들이 결국 최종소비재인 과일 가격에 영향을 미친 것이에요

    이러한 과일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금리를 인상해서 달러환율의 안정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

  • ✅️ 결국 꾸준하게 가격이 오르고 있는 재화나 서비스의 공급을 늘려야 하고, 그 재화, 서비스를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인 돈의 가치를 높여야 물가가 안정될 수 있습니다. (* 즉, 부족한 재화 수입 적극 고려해야 하고, 돈의 가치 금리 올려야 합니다. )

  • 소득주도성장의 실패로 인건비가 오르다보니 모든 재화의 가격이 올라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공급이 엄청나게 증가하지 않는 한 가격이 급격히 낮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아무래도 정부에서 과일이나 채소값 등의 중간 유통 과정을 관리감독하고 사재기 등을 단속하여야 이러한 농산물 가격이 안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질문하신 물가 안정을 위해서 정부가 취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정부가 물가에 대응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기준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현금을 줄이는 것이 물가를 잡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농수산물 같은 경우 정부가 민첩하게 대응해서

    옆 나라에서 농수산물을 빠르게 수입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