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숙연한청가뢰217
숙연한청가뢰217

1월2일 이더리움이 '뮤어빙하'업그레이드 는 무엇인가요?

1월2일 이더리움이 '뮤어빙하'업그레이드 는 무엇인가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는 만약 채굴시간이 너무 짧을경우 채굴시간을 증가시켜 시간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1월2일 이더리움이 '뮤어빙하'업그레이드 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본래 난이도 폭탄은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POW 체인과 POS 체인이 공존하는 동안에 POW 체인의 채굴 난이도를 높임으로써 POS 체인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려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POS로 합의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세레니티 단계의 개발이 지연됨으로써 이전에 계획했던 시점에서의 난이도 폭탄의 실행이 연기될 필요가 있게 되었습니다.

      즉,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과거에 예상했던 것보다 블록 생성이 더 빨리 이루어져 난이도 폭탄 실행 시점이 더욱 빠르게 다가오고 있어 난이도가 상승하고 그로 인해 블록 생성 시간이 점점 길어지는 현상이 지난 10월부터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대로 하드포크를 하지 않을 경우 블록 생성 시간이 점점 길어지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POS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난이도 폭탄의 실행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고, 난이도 폭탄으로 인해 발생하게 될 결과에 대한 분석이나 예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이러한 난이도 폭탄을 연기하는 하드포크가 진행되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뮤어 글레시어 하드포크는 난이도 폭탄으로 인해, 난이도가 상승하고 채굴이 어려워지는 시기를 ICE AGE 빙하기로 부르는 것에서 착안하여 알래스카 빙하의 이름을 가져와 하드포크의 명칭으로 활용한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뮤어 글레시어 하드포크는 가짜 블록 번호를 이용하여 난이도 폭탄의 실행을 연기시키려고 합니다. 저는 이것을, 난이도 폭탄이 예정되어 있는 이더리움 블록 높이가 있다고 할 때, 클라이언트 상에서 4백만 블록 이전의 가짜 블록 번호를 인식시킴으로써 난이도 폭탄을 연기한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블록 높이가 9,189,545이라고 할 때 난이도 폭탄 연기 하드포크를 진행하지 않는다면 블록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해서 난이도가 높아지고 블록 생성시간이 길어질 것입니다.

      하지만 뮤어 글레시어 하드포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상에서 난이도를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블록 번호(높이)를,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를 기준으로 4백만 블록(약 611일)이 앞선 가짜 번호를 기준으로 난이도 계산을 하도록 할 경우에 자연스럽게 난이도 폭탄의 실행이 연기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끝으로 뮤어 글레시어 하드포크를 통해 난이도 폭탄을 연기하게 될 경우 4백만 블록이 생성되는 시간(약 611일) 만큼의 여유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그 이후에 다시 난이도가 상승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