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다른 동물의 장기를 이식할 시에 생길 수 있는 문제는 어떤게 있을까요?

몇 년 전에 돼지의 심장을 이식받는데 성공했지만 몇 달 뒤에 사망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이처럼 다른 동물의 장기를 이식했을 때 추정할 수 있는 문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의 장기 이식은 인간 수술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 적절한 후보 동물의 장기를 받아들여 신체 기능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부 반응: 이식받는 동물의 면역체계는 이식된 장기를 외부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파괴하기 위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을 거부 반응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감염: 수술 후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감염은 항생제와 같은 약물을 사용해 치료해야 합니다.


      후유증: 수술 후에는 장기 이식에 대한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식된 장기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이식된 장기 주위의 조직이나 혈관에 손상이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능 장애: 이식된 장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발생합니다. 이는 수술 중 또는 수술 이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발: 이식받은 동물이 처음 받은 장기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면역 억제제를 계속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성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은 다른 동물의 장기가 이식되면 해당 조직을 파괴하는 면역 거부반응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하여 면역억제제를 복용합니다.


      거부반응의 적신호들

      - 고열 및 몸살 감기 증상

      - 이식 부위 동통 또는 압통

      - 체중 증가 또는 부종

      - 소변량 감소

      - 배뇨통 또는 혈뇨

      - 두통 또는 피로감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면역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인자들을 유전적으로 조작하여 장기이식용 돼지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한 돼지의 장기가 인체에 적합한지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어서 개발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부작용은 면역반응이 가장 큽니다. 이는 내가 가지고 있는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침입자로 인식을 하여 내 몸의 세포들이 공격을 하는 겁니다. 이 때문에 이직된 장기가 거부반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역억제제를 계속 투여받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1. 거부반응: 이식된 장기가 수혈받는 동물의 면역체계에서 인식되지 않아 거부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여 거부반응을 억제합니다.

      2. 감염: 이식 과정에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혈 과정이나 수술 중에 감염이 전파되거나 이식된 장기에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기능 부전: 이식된 장기의 기능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이식 과정에서 장기가 손상될 수 있거나, 면역반응이나 감염 등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4. 후처리 문제: 이식 과정 이후에도 면역억제제 등의 약물 복용과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후처리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식 대상의 동물로부터 새로운 질환 감염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생태계 혼란, 고비용문제, 정체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