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성 폐질환은 전염성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할아버지랑 같이 살게 되었는데요.
할아버지가 기침이 매우 심하신데
혹시 전염성이 있는걸까 걱정이 되어서요.
괜찮으신건가 걱정도 되구요.
예전에 이모랑 같이 병원 가서
CT 찍었을 때는 괜찮다고 하셨대요.
최근에 심해져서 이비인후과 갔는데
나이 들어 그런거라 하셨구요.
약 먹으면 좀 나으시구요.
큰병일까봐 걱정되는데
병원을 안 가려고 하셔서 .. 휴 ㅠ
담배를 좀 피시는데
그냥 만성폐쇄성폐질환? 그런건지
그런거라면 전염성은 없는건지
결핵이나 다른 전염성 있는 병인건지
집에 아기들이 있어 조심스럽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할아버지와 함께 생활하시면서 기침 관련 걱정이 많으신 거 같네요. 우선, 노인성 폐질환 자체는 전염성이 없습니다. 주로 나이와 관련된 변화나 만성적인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담배를 피우시는 것으로 보아 만성폐쇄성폐질환, 즉 COPD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역시 전염성은 없습니다. COPD는 폐기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병으로, 기관지 좁아짐과 기도 염증이 특징이지만,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할아버지의 심한 기침이 결핵 등의 전염성 질환으로 인한 것인지 알고 싶다면, 검사와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전에 병원에서 촬영한 CT가 괜찮다고 했던 것과, 최근 이비인후과에서도 나이 때문이라고 알아보신 바 있으니 다소 안심할 수 있지만, 기침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 중 아기들도 있는 만큼, 이런 경우 조심스럽게 대응하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노인성 폐질환, 특히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나 기침을 동반한 호흡기 질환은 전염성이 없습니다. 만약 할아버지께서 기침을 하고 계시다면, 대부분의 경우 이는 담배로 인한 만성적인 폐 질환이나 노화로 인한 상태일 가능성이 커 보여요. 이 경우는 감염성 질병과는 다르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습니다. 다만, 기침이나 호흡기 문제가 심해지면 폐 기능이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죠
하지만, 기침이나 호흡 문제에 대해 항상 걱정되는 부분이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결핵이나 감염성 질환은 기침을 동반하므로, 혹시나 하는 걱정이 드실 수 있죠. 만약 할아버지의 기침이 오래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예: 발열, 체중 감소 등)이 동반된다면, 결핵이나 다른 감염성 질환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병원에서 다시 한 번 확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이비인후과에서 큰 문제가 없다고 하셨지만, 병원에 가기 어려워하신다면 간단한 건강 체크나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안심을 얻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어른신이 기침을 많이 하는 경우는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가능성이 높기는 합니다.
하지만 환자분이 걱정하시는 것처럼 전염성폐질환여부는 증상만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환자분에게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라고 하시고 병원을 안 가시겠다고 하면
자녀분 건강때문에 같이 살기 어렵다고 말씀드리고 따로 생활을 하시는 것을 고려해보세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기침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이 중요합니다. 말씀하신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흡연이 주요 원인이며, 전염성은 없습니다. 하지만 고령층의 기침은 폐렴, 결핵 등 전염성 질환, 심장 질환, 혹은 다른 호흡기 질환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과거 CT 검사 결과가 정상이더라도 현재 증상이 악화되었다면 다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할아버지께서 병원 방문을 꺼리신다면, 가족분들이 설득하여 진료를 받으실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특히 집에 아기가 있다면, 할아버지의 기침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혹시 모를 전염성 질환에 대한 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보건소에서 결핵 검진 등을 받아보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