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케리 청산이란 무슨 말입니까? 요즘은 경대 용어가 너무 새롭게 나와서 궁금합니다
방송이나 뉴스를 보면은 좀 쉬운 말로 좀 해야 하는데 설명도 없이 어려운 용어가 많이 나옵니다 엔케리 청산이란 말이 나오는데 엔케리가 뭡니까 ? 도대체 아무리 경제 용어가 자주 바꾼다고해도 너무한것같아요 이런 경제용어는 또 처음 들어 본 말입니다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엔 캐리청산에 대하여 쉽게 설명드립니다.
현재 엔화의 기준금리는 최근 인상하여 0.25%, 미국의 기준금리 5.5% 입니다. 이럴 때 엔화를 갖고 있는 것보다 달러로 예금 해 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도 엔화 대출을 받아서 달러로 교환하고 달러 예금으로 가입하면 기본적으로 5% 이상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물론 각종 비용을 빼면 3% 정도 무위험 수익이 발생)
여기에서 엔 캐리 트레이드가 나왔습니다. 즉 낮은 금리의 엔화를 팔고 높은 금리를 주는 달러를 사서 예금을 해 두면 5%의 수익이 보장됨으로 우리나라 사람들도, 일본 사람들도, 다른 나라 사람들도 모두 엔 캐리 트레이드를 했습니다.
간단한 예로 우리나라 증권사에서 이자율이 낮은 엔화 자금으로 일본의 주식시장에서 미국의 국채에 매입하는 상품을 팔았습니다.
문제는 일본과 미국의 금리 차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입니다. 최근 미국은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고 했고, 일본은 기준금리를 더 인상하겠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5% 이상의 갭 금리가 급격하게 축소되고 엔 자금을 투자했던 투자자는 투자 수익의 감소 또는 손실까지도 예상되기 때문에 달러를 처분하고 다시 엔화를 사는 엔 캐리 청산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 것입니다. 즉 엔 캐리 청산이란 달러를 팔고 엔화를 사는 현상을 말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캐리 청산(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은 일본 엔화를 이용한 캐리 트레이드 전략에서 포지션을 정리하거나 종료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국가의 통화로 자금을 차입하여 금리가 높은 국가의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금융 전략입니다.
일본 엔화는 오랫동안 금리가 낮게 유지되어 왔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엔화를 차입하여 금리가 높은 국가의 통화나 자산에 투자하는 엔 캐리 트레이드를 진행해왔습니다.
엔캐리 청산은 이러한 포지션을 정리하는 과정으로,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리 변화: 금리가 오를 경우, 엔화를 차입하는 비용이 증가하여 캐리 트레이드의 수익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때 투자자들은 포지션을 청산하게 됩니다.
위험 회피: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거나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투자자들은 위험을 줄이기 위해 캐리 트레이드 포지션을 청산할 수 있습니다.
환율 변화: 엔화의 가치가 강세로 전환될 경우, 투자자들은 환차손을 방지하기 위해 포지션을 청산할 수 있습니다.
엔캐리 청산이 대규모로 이루어질 경우, 외환 시장에서 엔화의 수요가 급증해 엔화 가치가 급등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캐리 청산'은 일본 엔화를 빌려서 금리가 높은 다른 나라의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인 엔캐리트레이드를 청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엔캐리트레이드는 일본의 낮은 금리를 이용해 엔화를 빌려 미국 달러나 다른 고금리 통화로 바꿔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일본 엔화가 강세를 보이거나, 일본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이나 다른 긴축 정책을 시행할 경우, 투자자들은 손실을 막기 위해 이러한 포지션을 급히 청산하게 됩니다. 최근 일본 엔화 강세와 함께 엔캐리 청산이 발생하면서 글로벌 주식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케리 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나라의 돈을 빌려다가 금리가 높은 나라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에 금리가 가장 낮은 일본 엔화가 사용되었고
엔화로 투자한 자산들이 있는데
요즘 일본 금리가 오르면서 그렇게 투자한 자산을 청산하는 것을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엔 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는 일본의 저금리로 엔화를 빌려 금리가 높은 다른 나라의 자산에 투자해 금리 차익을 노리는 전략입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Yen Carry Trade Unwinding)은 이 전략으로 투자한 자금을 다시 일본으로 되돌리는 과정을 의미하며, 주로 일본의 금리 인상이나 엔화 강세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청산이 발생하면 엔화 수요가 급증해 엔화가 강세를 보일 수 있고, 글로벌 금융 시장에도 변동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캐리 트레이드는 간단히 말해 저금리인 엔화를 빌려서 고금리인 달러 및 기타 통화에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저금리 통화 중 유동성도 높은 통화로는 엔이 대표적이기 때문에 보통 엔을 차입해서 금리가 높은 나라에 투자합니다. 금리 차이와 환율로 수익률이 결정되고, 그렇기 때문에 금리 차이가 줄거나 환율이 불리하게 흘러갈경우 엔캐리 포지션을 청산하여 엔화강세 압력이 높아집니다. 미-일 금리차가 크고 환율변동성이 낮을 때는 엔캐리가 활발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청산으로 이어집시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캐리 트레이드를 먼저 알아야 하는데 일본의 저금리를 바탕으로 값싼 엔화를 바탕으로
글로벌 투자자산에 투자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이 트레이드 자금이 다시 일본으로 빨려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를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라고 하고 투자되어 있던 자산이 청산되면서 자연스레 글로벌
자산의 폭락을 이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캐리트레이드란 1990년말부터 본격적으로 일본에서 성행했던 매매형태입니다. 즉 일본의 오랫동안 저금리 기조라서 이 저금리의 기조의 엔화를 차입해서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수익률이 높은 미국 중심의 국채를 투자하는 형태의 레버리지 매매를 말합니다.
자기자본이 없어도 저금리릐 엔화를 차입해서 금리가 높은 미국채를 사서 투자하면 금리차이의 수익을 얻을 수 있고 환율만 안정화되면 환리스크도 적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엔화가치가 10%이상 상승하면서 엔화가치의 환손실이 발생하고 일본의 깜짝 금리인상으로 시장금리가 인상하게 되면서 엔화가치가 크게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반면 달러가치는 최근 하락하면서 미국의 투자한 환차손이 발생하면서 이로 인해서 엔캐리트레이드의 손실을 줄이거나 강제로 신용으로 빌린 자금에 대해서 청산이 발생하면서 이로 인해서 숏커버발생되는 흐름이 연출되었다고 보시면됩니다.
이때문에 더욱더 엔화가치가 가파르게 상승을 한게 아닐까 시장에서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낮은 엔화를 일본에서 빌려서, 금리가 높은 미국같은 자산시장에 투자하는것을 엔캐리 트레이드라고 하고, 기준금리가 올라가면서 풀려있던 자산들을 다시 회수해가는것은 엔캐리청산 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앤캐리 트레이드란 금리가 낮은 일본에서 자금 차용하여 금리가 높은 타국에서 투자하는 것이며,
앤캐리 트레이드 청산이란 해당 금액들이 일본 금리 상승에 타국 금리 인하로 인해서 자금 청산 후 일본 내지 타국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