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숙연한아비121
숙연한아비12122.10.30

감기 치료제를 만들지 못하는 이유?

나이
36
성별
남성

안녕하세요,숙연한아비121입니다

감기에는 치료제가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근데 왜 감기치료제는 만들지 못하는지. 또,감기는 질병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감기 바이러스도 변이를 자주 일으키기 때문에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처럼 치료제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감기라고 부르는 상기도 감염은 호흡기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코로나19에서 보듯 변이가 매우 빠르고 감염에서 회복되더라도 항체가 평생 지속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벽하게 예방이 불가능 합니다. 또한 변이가 빠르지만 심각한 후유증이나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부작용의 위험성이 큰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해야 할 필요성도 떨어지지만 사용하더라도 이득이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감기는 상기도 감염 및 염증이 발생하여서 기침, 콧물, 가래,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인데 이를 유발할 수 있는 항원들은 수백가지가 됩니다. 가능성이 있는 이 많은 바이러스들을 한 방에 다 커버할 수 있는 약은 만들 수 없을 뿐더러 스스로 회복되는 경과를 거치기 때문에 굳이 치료제가 필요하지도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감기는 보통 코, 인후, 부비동, 기관, 기관지, 폐와 같은 호흡기에 바이러스가 감염 되면서 발생하는 호흡기질환입니다. 현재까지 감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바이러스는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 약 200여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종류도 다양한데 이러한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키는 경우도 많기에 각각의 바이러스에 대해서 모두 백신이나 치료제를 만들지는 않고 증상에 대해 대증치료를 합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처럼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감기 또한 코로나와 마찬가지 이유일것 같습니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감기가 걸리는 것이기 때문에 매번 변이형 및 바이러스의 종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되지 않는 실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아직까지 의학으로는 세균 감염은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지만

    그 보다 더 미세 단위인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항바이러스제의 경우 개발 및 발전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따라서 치료제 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백신등을 이용하여 예방에 힘 쓰고 있습니다.

    백신으로 흔히 알려져 있는 수두, 대상포진등도 바이러스 감염이며, 독감, 코로나도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B형간염, C형 간염등도 바이러스 감염으로 백신 접종이 필요합니다.

    에이즈의 경우도 바이러스 감염이므로 아직까지 완치 개념의 치료제 개발이 안되고 있습니다.

    감기의 경우도 바이러스 감염이기 때문에 치료제가 따로 없고 대증 치료가 기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로 생기는 감염증입니다 .

    바이러스는 변이가 워낙 많기 때문에 원칙적인 제거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감기는 증상을 줄이는 치료를 주로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