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카드사 순익 급감과 연체율 상승, 무역 결제 리스크에도 연결될 수 있나요

상반기 카드사 순익이 18퍼센트 줄고 연체율이 10년 반 만에 최고치라는데요 기업 신용 리스크가 커지면 무역 금융과 수출입 대금 결제에도 위험이 커질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기업들이 어떤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무역 결제라는 게 결국 은행 신용과 기업 재무건전성에 기대는 구조라서 카드사 연체율 상승 같은 국내 금융 불안이 파급될 수 있습니다. 연체율이 높아지면 전반적인 자금 조달 비용이 올라가고 은행은 대출이나 신용장 발급 심사를 더 보수적으로 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면 수출입 기업은 결제 조건이 까다로워지고 신용장 개설 비용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보면 이런 상황에서는 거래처와 대금 결제 조건을 다변화하거나 보증보험 활용 같은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게 필요합니다. 또 자체 유동성 관리에 집중해서 갑작스러운 금융시장 경색에 대비하는 게 결국 무역 리스크를 줄이는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신용 경색이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금회수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에 가능하다면 결제수단을 보수적으로 협의하고 수출보험도 반드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관련 기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JSESSIONID_KITA=B4DB3166825A1C62FEE9AEC9724B33B4.Hyper?no=94843&siteId=1

    카드사 순익감소나 연체율에 대한 상승은 기업 신용 리스크를 증대시키며 간접적이지만 무역금융이나 수출입 대금 결제의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또한 외국에서 관련 리스크가 존재하는 경우 신용장 활용 확대, 무역보험 가입 등 신용위험 관리에 적극 대비할 필요강 ㅣㅆ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