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행성과 원시항성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항성이 되기전 행성과 같은 모습을 원시항성으로 분류한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빛을 낼수 없는 행성과 원시항성은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원시항성은 항성이 형성되기 전 초기 단계의 별로,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빛을 내지 않는 물체를 말합니다. 이러한 원시항성은 주로 빛을 내지 않고 주변에 있는 물질을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행성은 주로 별 주위를 공전하며 빛을 내지 않고 별의 빛을 반사하는 물체를 말합니다. 행성은 주로 별과의 중력적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며, 자신만의 궤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빛을 내지 않는 물체는 주로 원시항성으로 분류되고, 별 주위를 공전하며 빛을 반사하는 물체는 행성으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과 원시항성은 빛을 내는 능력 여부로 구분됩니다.

      행성은 스스로 빛을 만들지 못하고, 주변 항성의 빛을 반사하여 빛납니다. 반면 원시항성은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빛을 내지만, 아직 주변 가스와 먼지에 묻혀 있어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직접 관측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우며,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구별합니다.

      적외선 관측: 원시항성은 주변 가스와 먼지로부터 열을 방출하여 적외선 파장의 빛을 내므로, 적외선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합니다.

      분자운 관측: 원시항성은 대부분 분자운이라는 가스와 먼지가 모여 있는 곳에서 형성되므로, 분자운을 관찰하여 원시항성 후보를 찾습니다.

      스펙트럼 분석: 원시항성과 행성은 스펙트럼, 즉 빛의 파장 분포에 차이가 있으므로,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구분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을 통해 빛을 내는 능력 여부를 확인하여 행성과 원시항성을 구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이 되기 전 단계인 원시항성은 행성과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어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빛을 낼 수 있는지 여부는 두 대상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1. 핵융합 반응

      원시항성: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행성: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빛과 에너지를 스스로 만들 수 없습니다.

      2. 질량

      원시항성: 태양 질량의 약 8% 이상이어야 핵융합 반응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행성: 태양 질량의 약 0.01% 이하입니다.

      3. 온도

      원시항성: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면서 중심부 온도가 수백만 도까지 올라갑니다.

      행성: 중심부 온도가 수천 도 정도로 비교적 낮습니다.

      4. 관측 방법

      원시항성: 주변 가스와 먼지를 끌어당기면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적외선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주변 항성의 영향으로 불규칙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기도 합니다.

      행성: 스스로 빛을 내지 않기 때문에 직접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대부분 주변 항성의 섭동이나 중력 렌즈 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발견됩니다.

      5. 구분의 어려움

      젊은 행성: 뜨거운 행성은 빛을 약하게 방출할 수 있어 원시항성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암흑 물질: 암흑 물질은 직접 관측할 수 없지만, 은하의 회전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암흑 물질이 원시항성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6. 지속적인 연구

      과학자들은 다양한 관측 방법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빛을 낼 수 없는 행성과 원시항성을

      더욱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빛을 낼 수 있는지 여부는 빛을 낼 수 없는 행성과 원시항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지만, 젊은 행성이나 암흑 물질과 같은

      요인은 구분을 더욱 복잡하게 만듭니다.

      과학자들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두 대상을 더욱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과 항성은 천체의 종류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은 천체를 말합니다. 이들은 주로 별 주위를 공전하면서 별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하는 천체입니다. 반면 항성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별을 의미합니다. 항성은 본래 빛나는 천체를 일컫는 말이며, 자기 중력에 의해 충분히 압축되어 핵융합이 일어나는 천체입니다. 즉, 태양과 같이 빛을 발하는 천체를 항성이라고 합니다. 행성은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빛을 내지 못하는 천체로 분류됩니다. 우리 태양계에서는 태양이 항성이고, 태양을 주위로 돌고 있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행성에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