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튼실한바다매221
튼실한바다매221

고지혈증이라고 약을 처방받았습니다. 다음주에 화이자 백신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30세 여성입니다.

1/10 화이자 백신 3차 예약 되어있는데요.

얼마 전 고지혈증 진단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백신을 맞아도 되는지, 꼭 약을 먹어야 하는지, 바로 먹어야 하는지, 백신을 맞고 먹어도 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앞으로 약을 복용하든 안하든 운동과 식이는 꾸준히 관리 하려고 합니다.

21.12.09

total cholesterol 228 / HDL 44.4 / LDL 123 /triglyceride 303

검사 후, 약 복용은 하지 않고 운동, 식이로 관리 후

22..1.04

total cholesterol 238/ HDL 43.1 / LDL 152 /triglyceride 212

이 변화가 어떤 의미인지도 궁금합니다.

고지혈증 진단받은 것도 그렇고 백신을 맞아야 하는 것도 그렇고 덜컥 겁이나서 여쭤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우선 고지혈증 약물과 코로나 백신 접종은 큰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걱정하지 말고 접종하셔도 됩니다. 또한 현재 적어주신 혈액검사 수치를 보면, 고지혈증이 더 심해지셨습니다. 고지혈증을 진단, 치료를 할 때 가장 핵심이 되는 수치는 LDL 입니다. 다만 LDL 수치에 따라서 위험군을 분류 후 목표수치를 정하게 되는데, 현재 정보로 질문자분의 위험군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처방받은 병원에 내원하여 현재 질문자분의 위험군 및 목표수치에 대한 정확한 상담을 다시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고지혈증으로 진단 받으신 경우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의 금기가 아니며 접종이 가능합니다. 고지혈증 치료제의 경우 항체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접종과 무관하게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흔히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 LDL 콜레스테롤이 높은 경우를 통칭합니다.

      고지혈증의 원인은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음식 (고지방 음식, 정제된 탄수화물 섭취)을 많이 드시거나 과음, 체중 증가 등 생활습관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영향으로 체내에서 콜레스테롤을 많이 생성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지혈증과 더불어 고혈압, 당뇨 모두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가족력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이 높더라도 개인이 느끼는 증상은 없습니다. 이 때문에 고지혈증을 가지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모르고 계시거나 치료를 받지 않고 지내시는 경우도 흔합니다.  콜레스테롤이 높은 것 자체도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그 보다 조절되지 않은 상태로 콜레스테롤이 수년 이상 지속될 경우 신체 각 기관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신장질환 등). 따라서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적정 콜레스테롤 수준을 유지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한 투약과 생활습관교정으로 콜레스테롤 조절이 양호한 경우 약의 용량을 감량이 가능하며 이후에도 잘 조절된다면 투약 종료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몸에서 콜레스테롤을 많이 생성해내는 경우에는 투약 중단시 다시 높은 상태로 콜레스테롤이 측정될 수 있어 꾸준한 투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기 위한 생활습관교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탄수화물 및 고지방 음식을 줄이는 식사

       정제된 탄수화물 (빵, 떡, 국수와 같은 밀가루 음식)이나 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 (비계, 곱창 등)은 콜레스테롤을 높이고 혈당 수치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과일 음료나 탄산음료 섭취는 삼가시고 믹스 커피를 즐겨드신다면 이를 줄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식물성기름 (콩기름, 들기름, 올리브기름)이 동물성 기름보다 유익하며 음식은 가급적 튀기지 않고 찌거나 삶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잡곡, 해조류, 채소, 과일껍질 같은 식이섬유를 많이 드시고 잡곡이나 현미, 통밀과 같은 통곡식품이 백품보다 도움이 됩니다. 채소와 콩류, 생선류, 과일류, 유제품의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가 좋습니다.

       2) 주 15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

       숨이 약간 찰 정도 이상의 강도로 주 150분 (1일 30분시 주 5일, 1일 50분시 주 3일) 이상 빠르게 걷기, 조깅, 수영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하시고, 몸이 익숙해지면 주 1~2회 추가로 근력운동을 권장드립니다.

       3) 금연과 절주

       흡연자시라면 금연이 장기적으로는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음주 (함께 드시는 안주)는 혈당과 중성지방을 상승시킬 수 있어 주 2회 이하, 1회 5잔(남성) 3잔(여성) 이하로 드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4) 체중감량 등이 콜레스테롤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더불어 가족력이 중요한 위험인자 이므로 위에서 말씀드린 생활습관 교정 이외에도 3~6개월 마다 정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고지혈증을 진단 받았다고 하여 화이자 백신 접종의 금기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겁이 나시겠지만 고지혈증과 무관하게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접종 받는 것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며 접종 받으셔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음 고지혈증 수치가 높지는 않아서 약을 쓰는 것이 필요한가 싶네요. 물론 질문자의 건강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어서 판단이 어렵기는ㅈ합니다. 고지혈증 약 드시는 것과 코로나 백신 접종 은 큰 관련은 없습니다. 접종은 예정대로 하시고 약도 평소대로 드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접종과 고지혈증, 혈압약은 크게 관련이 없으므로 접종 당일까지 계속 복용하셔도 됩니다. 기존 약물복용 스케줄을 조절할 필요 없이 복용하시고 접종은 접종대로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고지혈증은 접종의 금기는 아니지만 주의를 요합니다.

      현재 질문자님의 상태는 백신접종 센터에서 문진의에게 상세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고지혈증은 약물복용이 필요하며 식이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약물복용을 지속하시고 고지혈증 약물은 접종에 따른 면역반응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고지혈증은 식단/약/운동을 하면서 계속 조절해주시기 바랍니다

      백신은 맞으셔도 됩니다

      걱정하지마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