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유전 파트- 복대립 유전, 단일인자 유전, 다인자 유전
복대립 유전 : 하나의 형질이 세 가지 이상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유전
단일인자 유전 : 한 쌍의 대립 유전자 형질 결정
다인자 유전 : 여러쌍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형질이결정되는 유전 현상
이때 ABO식 혈액형이 복대립 유전도 되고 단일인자 유전도 된다고 배웠는데 왜 그런지 잘 모르겠어요ㅠㅠ
복대립 유전, 단일인자 유전, 다인자 유전에 대해 구체적으로 비교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볼립대란 한유전자 좌위에 ABO 3개 대립유전자
단일인자는 한쌍 유전자로 형질 결정
다인자는 여러 유전자 합산해 영향
유전 모두 해당되는것 같네요
복대립 유전은 하나의 형질이 세 가지 이상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유전 현상이며, ABO식 혈액형은 A, B, O 세 가지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므로 복대립 유전에 해당합니다. 단일인자 유전은 하나의 형질이 한 쌍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유전 현상으로, ABO식 혈액형은 각 개인이 부모로부터 한 쌍의 대립 유전자(예: AA, AO, BB, BO, AB, OO)를 물려받아 혈액형이 결정되므로 단일인자 유전에도 해당합니다. 다인자 유전은 여러 쌍의 대립 유전자가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 현상으로, 키나 피부색처럼 유전자와 환경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형질에 주로 나타납니다.
먼저 말씀하신대로 ABO식 혈액형이 복대립 유전이면서 단일인자 유전에 속합니다.
복대립 유전은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는 데 3가지 이상의 대립 유전자가 관여하는 유전 현상입니다.
ABO식 혈액형의 경우 ABO식 혈액형을 결정하는 대립 유전자에는 간단하세 A, B, O 세가지가 있습니다. 이 세 가지 대립 유전자 중에서 개체 하나는 두 개의 대립 유전자만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A형은 사람은 유전형이 AA 또는 AO형이고, AB형은 AB입니다. 즉 선택가능한 대립형 유전자는 3가지이지만, 실제로 개체가 가지는 대립 유전자의 수는 항상 두 개입니다.
단일인자 유전이란 한 쌍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하나의 형질이 결정되는 유전 현상입니다.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ABO식 혈액형은 결국 한 쌍의 대립 유전자 즉, 두 개의 유전자에 의해 혈액형이라는 하나의 형질이 결정됩니다.
결론적으로 복대립 유전은 단일인자 유전의 한 종류입니다.
단일인자 유전이 '한 쌍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형질이 결정된다는 넓은 개념이라면, 복대립 유전은 그 한 쌍의 대립 유전자가 선택될 수 있는 '대립 유전자 풀(pool)'이 세 가지 이상이라는 특수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ABO식 혈액형은 한 가지 형질인 혈액형이 한 쌍의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므로 단일인자 유전에 해당하며, 그 한 쌍의 대립 유전자가 3가지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므로 복대립 유전이라고도 불리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복대립 유전은 하나의 형질이 세 가지 이상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단일인자 유전은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한 유전자좌에서 형질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ABO식 혈액형은 한 유전자좌에서 결정되므로 단일인자 유전이면서도 그 유전자좌에 A, B, O 세 가지 대립유전자가 있어 복대립 유전에도 해당하며, 다인자 유전은 키나 피부색처럼 여러 유전자좌의 대립유전자들이 모여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이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