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겁나재밌는방울뱀
겁나재밌는방울뱀

생명과 수학이예용 극대극소부분과 생명의 면역반응

수학 실생활이용인데요 그 생명1에 배운 면역반응 그래프에서 항원 처음주사와 두번째 주사를 주입했을 때 그래프가 달라지는데요 그걸 극대극소애 대입시키면 어떻개 될까요 설명 좀 해주세요 1차면역에서 최고부분을 극대라고 하고 두번째 주사를 넣을때 그 부준만 작으니 극소고 다시 넣어서 최고점을 찍으면 극대 이렇게 할수 있을까오? 부호변화가 있을땨 극다극소로 알고있는데 판단을 못하겠어용!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면역 반응의 수학적 해석을 극대와 극소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려면, 우선 면역 체계의 반응 곡선을 이해해야 합니다. 면역 반응 곡선은 항원(antigen) 주입 후 항체(antibody)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 1차 면역 반응에서의 극대 : 첫 번째 항원 주입 후, 면역 체계는 항체를 생산하기 시작하며, 항체 농도는 점차 증가하여 최대값(극대)에 도달합니다. 이 시점에서 면역 체계의 반응은 가장 활발하며, 항체 생산이 최고조에 달합니다. 수학적으로 이 최대값은 항체 농도의 도함수(derivative)가 0이 되는 지점으로, 이곳에서 기울기는 0이며, 농도의 증가율은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 항체 농도의 감소 : 최대값에 도달한 후, 항체 농도는 점차 감소합니다. 이 감소 과정은 극대점 이후에 나타나며, 만약 이 과정에서 항체 농도가 최소값(극소)에 도달한다면, 그 지점을 극소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1차 반응에서는 명확한 극소점이 나타나기보다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2차 면역 반응에서의 극대 : 같은 항원이 다시 주입되면, 기억 세포(memory cells)의 작용으로 인해 더 빠르고 강한 항체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때 항체 농도는 더 빨리 증가하여 이전보다 높은 극대를 형성합니다. 이 두 번째 극대는 1차 반응의 극대보다 높으며, 면역 체계의 향상된 반응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관찰은 면역 체계의 동적인 특성과 각각의 항원 주입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수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생명의 면역 반응에서 1차와 2차 면역 반응을 수학적 극대와 극소 개념에 대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정확한 수학적 정의와는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1차 면역 반응에서는 항원을 처음 주입했을 때 항체 농도가 증가하여 최고점을 찍는 부분을 극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후 항체 농도가 감소하면서 낮아지는 부분을 극소로 볼 수 있는데, 이 시점에서는 그래프의 부호 변화가 없습니다. 2차 주사를 넣으면 항체 농도가 다시 급격히 증가하여 더 높은 최고점을 찍는 것을 또 다른 극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학적으로 극대와 극소는 그래프의 기울기 변화가 0이 되면서 부호가 바뀔 때를 의미하므로, 면역 반응 그래프에서는 이 개념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개념적으로는 항체 농도의 증가와 감소를 극대와 극소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그래프에서 면역 반응의 극대와 극소는 항원 주입 후 면역 반응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나타냅니다. 1차 면역 반응에서는 첫 번째 최고점이 극대, 감소 후의 최소점이 극소입니다. 2차 면역 반응에서는 두 번째 최고점이 극대가 됩니다. 극대와 극소는 함수의 값이 주변보다 높거나 낮은 점을 의미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