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5.26

은하수란 무엇인가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가요.

밤하늘의 한번씩 은하수가 보인다고 하던데 은하수랑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또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가요? 세상에는 신기한게 정말 많은 것 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은하수(銀河水, 영어: milky way / Galaxy)는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우리 은하)이다. 국부은하군의 일부인 막대 나선 은하로, 우주에 있는 약 2조개의 은하 가운데 하나이다. 고유어로는 미리내, 한자로는 은한(銀漢), 운한(雲漢), 우한(牛漢)이라고도 한다.

    출처 위키백과

    은하수는 결국 여러 수많은 별들이 모여 만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들이 원반형태로 모여있는 은하를 옆에서보면 하나의 긴 선형태로 모여있는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우리 지구에서는 그러한 모습을 보게되는것입니다.

    즉, 별들이 모여있는 밴드형태가 마치 강같다고하여 은하 수 라고 부르게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은하수는 별, 가스, 먼지, 어둠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천체의 집합체를 말합니다. 하늘에 별빛으로 보이는 것 중에도, 사실은 수십억 개의 별과 먼지, 가스, 어둠물질, 중성자성운 등이 모여 이루는 하나의 천체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은하수입니다.

    은하수는 크게 나누어 나선 은하와 타원 은하, 불규칙 은하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속한 은하는 은하수라고 부르는 나선 은하 중 하나입니다.

    은하수는 크게 말하면, 빅뱅 이후 처음 생긴 고밀도의 원시 물질이 서로 충돌하거나 중력 작용에 의해 모여들어 생겨난 천체입니다. 이렇게 모인 물질들은 서로 충돌하거나 융합하여 별이 되고, 이러한 별들이 모여 은하를 이루게 됩니다.

    은하수는 수천억 개의 별과 행성계, 안개, 성운 등이 모여 이룬 천체이며, 매우 방대하고 복잡한 천체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은하수(銀河水, the Milky way)는 지구(태양계)에서 관측하는 우리 은하의 모습으로, 밤하늘의 천구에 투영된 우리 은하의 단면이 마치 은빛 강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한 전통적인 명칭이다. 은하수의 별은 대부분 우리 은하 내부의 별로, 우리 은하 밖에 있는 별은 관측하기 어렵다.

    흔히 말하는 은하수는 전갈자리와 궁수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한밤중에 잘 보이는 위치는 봄에는 북쪽, 여름에는 북동에서 남쪽, 가을에는 동서, 겨울에는 북서에서 남동으로, 계절마다 변한다. 북반구 기준으로 여름철에 보이는 은하수가 가장 밝고 두터우며, 겨울철이 가장 어둡고 얇은데, 그 이유는 여름철 밤에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바라보게 되고 겨울철 밤엔 은하의 바깥부분을 바라보게 되기 때문이다.[1]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우리 은하 중심부에 뜨거운 가스와 성간 구름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은하수를 관측하려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관측에 영향을 주는 것들은 모조리 피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빛공해가 없어야 하며 달이 뜨지 않아야 한다. 달은 보름달일 때 겉보기 등급이 무려 -12.6이나 되므로 달이 거의 없거나 아예 뜨지 않아야 한다.[2] 미세먼지와 습도 역시 일정이상 수치를 넘어가면 은하수 관측은 물건너 간 것이라 생각해야 한다.


    특히 도심에서 은하수의 모습을 맨 눈으로 관측하기란 거의 불가능한데,[3] 수많은 야간 조명 때문에 빛공해로 은하수의 빛이 묻혀버리는데다 미세먼지까지 타지역에 비해 많기 때문이다. 정 쉽게 보고싶다면 황사 속에서도 은하수를 찾게해주는 야간투시경을 쓰면 된다.[4]


    수도권에 살고 있다면 평소에 맨 눈으로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90년도 이후에는 하지 않지만, 민방위 등화관제 훈련 당시에 서울시 전역의 등화가 모두 꺼진 적이 몇 번 있는데, 1970년대 말에 했었던 대규모 등화관제 훈련 때[5] 은하수를 볼 수도 있었다.


    90년대에 로스앤젤레스에서 한 번 대규모 정전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은하수를 보고는 "하늘에 이상한 구름이 보인다"며 신고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동안 광공해 때문에 한 번도 은하수를 본 적 없었던 것이다.


    일반인들에게는 한 번쯤 보고 싶을 낭만적인 풍경인 반면 천문학자들에게는 극복할 수 없는 고민거리이다. 하필 태양계가 우리 은하 원반 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은하 나선팔 중 하나가 태양계 밖을 도는 탓에, 천구의 특정 구역이 일년 내내 은하수의 광공해에 가려져 먼 곳을 관측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지구 어느 각도에서도 관측할 수 없는 이 사각 안에 있을 수십 만개 이상의 은하들은 그저 질량 정도만을 예측할 수 있을 뿐이다.


    궁수자리 인근에 은하의 중심인 Sgr A*이라는 이름의 초대질량 블랙홀이 숨어 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은하수(銀河水, the Milky way)는 지구(태양계)에서 관측하는 우리 은하의 모습으로, 밤하늘의 천구에 투영된 우리 은하의 단면이 마치 은빛 강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한 전통적인 명칭이다. 은하수의 별은 대부분 우리 은하 내부의 별로, 우리 은하 밖에 있는 별은 관측하기 어렵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은하수는 우리은하의 단면이 지구를 감싸는 모양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궁수자리 방향을 보면 우리은하 중심부를 볼 수 있읍니다.즉 은하수는 우리은하의 일부입니다 지름이 10만ly(light years - 광년)밖에 안됩니다.

    하지만 관측가능한 우주의 반지름만 전파가 닿을 수 있는 최대거리인 465억ly입니다 즉지름은 460억×2 930억ly로 은하수의 93만배나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은하수는 많은 별과 우주 물질로 이루어진 대규모의 천체 집단을 말합니다. 보통은하수는 은하라고도 불리며, 수많은 별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어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은하수의 형성은 우주의 초기에 시작되었습니다. 대략 138억 년 전, 빅뱅 이후에 탄생한 물질과 에너지가 서서히 응축되면서 은하를 형성하게 됩니다. 초기에는 소량의 원자가 함유된 가스 구름이 중력의 작용으로 더욱 집중되면서 별들이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별들은 은하 내에서 여러 형태로 분포하며, 중심부를 중심으로 나선 형태를 이루거나 타원 형태를 갖는 등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