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검은불곰84
검은불곰84

구름은 왜 흰색인가요, 먹구름은 왜 회색인가요?

그냥 구름은 흰색인데 왜 먹구름은 회색인가요?

흰색의 구름이 회색으로 바뀔수도 있는건가요?

매우 궁금합니다. 누가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흰색이거나 먹구름이 회색인 이유는 빛의 산란과 관련이 있습니다.

      구름은 수증기가 대기 상에서 응결하여 형성되는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의 집합체입니다. 이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는 빛을 산란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빛은 다양한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 파장들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인식됩니다. 햇빛은 모든 파장을 포함하고 있지만, 특히 빛 파장 중에서도 가장 짧은 파장인 파란색이 다른 파장들보다 산란이 더 강합니다.

      구름은 많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햇빛이 구름을 통과할 때 파란색 빛이 산란됩니다. 이 산란된 파란색 빛이 눈에 도달하여 우리에게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은 주로 흰색으로 인식됩니다.

      먹구름은 다른 종류의 구름입니다. 먹구름은 보통 구름 내부에 더 많은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가 존재하고, 그것들이 더 크고 무거워서 빛을 산란시키는 더 많은 기회를 갖습니다. 이로 인해 먹구름은 햇빛을 더 강하게 산란시키며, 다양한 파장의 빛이 혼합되어 회색으로 인식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흰색 구름은 햇빛을 반사하여 흰색으로 보입니다. 햇빛은 태양에서 지구로 전달되는 파장이 다양한 빛의 집합체입니다. 흰색 구름은 햇빛의 파장을 모두 반사하여 흰색으로 보입니다. 먹구름은 햇빛을 흡수하여 회색으로 보입니다. 먹구름은 흰색 구름보다 훨씬 두껍고, 햇빛이 구름을 통과할 때 많은 파장이 흡수됩니다. 그 결과, 먹구름은 흰색 구름보다 어두운 회색으로 보입니다. 흰색 구름이 회색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흰색 구름이 햇빛을 반사하지 못하는 경우, 흰색 구름은 회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흰색 구름이 햇빛을 가리는 다른 구름 뒤에 위치할 경우, 흰색 구름은 회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흰색 구름이 햇빛이 강하지 않은 시간에 형성될 경우, 흰색 구름은 회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구름의 색깔은 구름의 높이, 두께, 습도, 햇빛의 강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능력이 높기 때문에 태양 또는 달의 빛이 먹구름을 통과할 때 색상이 희미하고 회색으로 보입니다. 먹구름은 빛을 흡수하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많이 모여 있기 때문에 빛이 흩어지고 분산되어 회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구름의 색상은 주로 빛의 산란에 의해 결정됩니다.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와 먹구름이 회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그 구성과 빛의 산란에 따른 것입니다.

      1. 흰 구름 (높은 구름): 흰 구름은 주로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는 얇은 구름이며, 태양 빛이 흩어지면서 모든 색상의 빛이 혼합되어 백색에 가까운 흰색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구름은 햇빛이 전체적으로 흩어져 들어오면서 하늘이 푸르게 보이게 됩니다. 주로 원형나팔구름과 고적층구름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2. 먹구름 (적은 구름): 먹구름은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더 두꺼운 구름으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구름은 태양 빛을 많이 차단하고 분산시키므로 그림자가 생기고 빛의 강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하늘이 흐리게 보이며, 그 구름의 높이와 밀도에 따라 회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구름의 색상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주로 빛의 산란과 반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큰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