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기업(제조업 물류기업 등)에서 esg 대응 실태/전략
기업(제조업 물류기업 등)에서 esg 대응 실태/전략 등 얘기할 때
e부분, 즉 탄소중립 부분만 얘기하는 경우가많던데
이유가 뭔가요?
s,g도 중요한거같은데
esg=e 수준으로 더뤄서..궁금합니다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요약: 기업들이 환경(E)에 집중하는 이유는 정량적 설명과 실질적 이익 확보에 유리한 반면, 사회(S)와 지배구조(G)는 내부 리스크 노출과 간섭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질문대로 ESG 관련 발표에선 환경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루는 일이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세가지 이유가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1) 설명하기 쉬움
환경, 사회, 지배 구조 중 환경이 정량적으로 설명하기 용이하고 기억에 남기기 쉽습니다.
2) 이익과 직접적으로 관련됨
환경 문제는 탄소세, 글로벌 규제, 무역 성과 등 실질적 이익과 관련된 부분이 많습니다. 당연히 기업 내외부적으로 많은 관심이 쏠릴 수 밖에 없습니다.
3) 사회, 지배구조에 대한 설명은 내부 사정 및 문제와 관련됨
사회와 관련해선 언급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리스크(노조, 하청, 산업 재해 등)가 될 수 있으며, 지배구조에 간섭 받는 걸 좋아하는 기업은 보통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명 평가